젠더라는 환상/알렉스 번 지음/서민아 옮김/필로소픽/376쪽/2만 6000원
올해 파리 올림픽 복싱 여자 66㎏급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알제리 선수 이마네 켈리프가 생물학적으로 남자라는 의료 보고서가 최근 유출돼 논란이 일었다. 켈리프는 지난해 복싱 세계선수권대회에서 ‘XY 염색체를 가졌다’는 이유로 실격당했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염색체만으로 성별을 결정할 수 없다’며 출전을 허용해 링으로 복귀했다. 켈리프는 금메달을 목에 걸고 “나는 다른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여성으로 태어나 여성으로 살았다”고 주장했지만 그를 여자로 봐야 할지 남자로 봐야 할지 논란은 여전하다.
생물학적 개념인 ‘성’(sex)은 ‘사회적 성’ 혹은 ‘정체성’이라는 의미의 ‘젠더’(gender)에 철저하게 밀렸다. 젠더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면 곧장 ‘반(反)페미니스트’라고 손가락질받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철학 교수인 저자는 ‘성=젠더’라고 과감하게 주장한다. 성 이외에 다른 것을 의미하기 위해 젠더 개념을 사용하는 관행이 오히려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게 책의 요지다.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에서 출범한 젠더 개념은 그동안 확장일로를 걸었다. 1970년대 전후 젠더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정도’를 의미했지만 사회적 역할에 관한 내용을 담으며 문화 영역으로까지 확대됐다. 이후 ‘정체성’이란 개념까지 흡수하면서 몸집을 키웠다.
쓰는 이의 입맛에 따라 사용되는 젠더 개념에 맞서 저자는 “성은 단 두 가지이며, ‘되는 것’뿐만 아니라 ‘태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정체성에 대해서도 개인의 경험이나 생각에 따라 계속해서 바뀐다는 이유를 들어 “정체성은 없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젠더에 대한 논쟁 대신 올바른 성에 대한 이해를 우선하자고 제안한다. 어떤 성이건, 어떤 젠더 정체성이건 간에 누군가를 정확히 이해하고 존중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편향되고 혼란스러운 젠더 교육에 불쾌감을 느끼는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자기이해와 인식을 심어 주며 트랜스젠더에 대한 여러 오해 역시 걷어 내는 출발로 삼자고 주장한다.
2024-11-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