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이 바뀌듯 찰나의 환승… 시인이 건네는 ‘산문의 울림’

계절이 바뀌듯 찰나의 환승… 시인이 건네는 ‘산문의 울림’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11-05 00:01
수정 2024-11-05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원, 제자 향한 따뜻한 시선 담아
이소호, 좋은 시 쓰기 위한 분투기
이훤, 경계 넘나드는 깊숙한 사유

이미지 확대
이원  시인. ⓒ 강봉현
이원 시인.
ⓒ 강봉현


시인은 시로 독자에게 말을 건다. 그러나 시라는 게 보통 어려운 글인가. 시를 쓰고 시집을 내다가도 문득 과연 내 시가 독자에게 제대로 닿고 있는지 의심이 들 때가 있다. 시인이 산문을 쓰는 건 아마 그때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원 시인 ‘물끄러미’
이원 시인 ‘물끄러미’


이원(56) 시인의 ‘물끄러미’(난다)는 지금 딱 읽기 좋은 ‘제철 에세이’다. 11월은 애매하다. 가을이라고 하기에는 쌀쌀하고 겨울이라고 하기에는 따뜻해서다. 이원은 11월을 “모든 것을 소란스럽지 않게 잠재우는 환함과 어둠을 갖고 있는”(31쪽) 달이라고 했다. 확실히 시인의 설명이라 다르긴 다르다. 시 창작반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느낀 소회를 적은 글이 울림 있게 다가온다.

“문학을 하겠다는 아이들의 질문을 열어 보는 순간은 마치 밀푀유의 단면을 클로즈업으로 맞닥뜨리는 것 같다. 고요함과 아이들의 눈빛은 늘 등가로 있고, 나는 그 둘을 예민하게 읽어내려 온 힘을 다하는 것이 수업의 풍경인데, 내가 가닿지 못한 이런 깊은 뒤척임들이 있었구나, 오늘 알게 된다.”(118쪽)

이미지 확대
이소호 시인
이소호 시인


이소호(36) 시인의 에세이 ‘쓰는 생각 사는 핑계’(민음사)는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시인의 노력 그다음의 문제인 ‘시집을 팔기 위한 분투’를 다룬다. 시인은 시를 쓰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이다. 그런데 시를 쓰는 것만으로 먹고살 수 있나. 좋은 시를 쓰고 좋은 시집을 엮었다면 많은 독자에게 시집이 팔리고 읽혀야 하지만, 그건 마음처럼 되는 일은 아니다. 하지만 결연해 보이는 다음의 문장은 이소호가 앞으로도 계속 시를 쓸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이미지 확대
이소호 시인 ‘쓰는 생각 사는 핑계’
이소호 시인 ‘쓰는 생각 사는 핑계’


“작가로서 쓰면서 느끼는 게 있다면, 내가 포기하지 않는 이상 이 글들은 죽지 않았다는 것이다. 살아 있다. ‘쓰다 만 글’이라고 해서, 실패작들이 모여 있는 것만은 아니라는 확신이 든다.”(112쪽)

이미지 확대
이훤 시인. ⓒ 이슬아
이훤 시인.
ⓒ 이슬아


이훤(37) 시인의 산문 ‘눈에 덜 띄는’(마음산책)은 경계를 넘나드는 디아스포라로서의 사유가 깊숙이 스며든 책이다. 이훤은 시인이자 사진가로 활동한다. 미국 조지아공대에서 기계공학을, 시카고예술대학에서는 사진학을 공부했다. 시와 사진을 아울러 생각하고 모국어와 외국어의 경계를 고민하는 감수성을 글에 담아낼 수 있는 이유다. 그래서인지 그는 책 제목처럼 눈에 덜 띄는 것, 보이지 않는 것에 관심이 많다.

이미지 확대
이훤 시인 ‘눈에 덜 띄는’
이훤 시인 ‘눈에 덜 띄는’


“보이지 않아도 연결돼 있다는 믿음을, 나 또한 여러 번 연습해왔다.”(49쪽)
2024-11-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