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적 언어 가진 한국과 폴란드… “세계문학 ‘빈틈’ 메울 것”

독자적 언어 가진 한국과 폴란드… “세계문학 ‘빈틈’ 메울 것”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11-04 03:26
수정 2024-11-04 0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가 토카르추크 ‘기묘한 이야기들’ 번역한 최성은 한국외대 교수

숱한 외세 침략 견딘 한국·폴란드
정·흥 많고 역사적 경험도 비슷해

“다양한 언어권의 다채로운 생활
세상 중심부로 오롯이 전달되길”

2018년 노벨문학상 토카르추크
한강의 폴란드 북토크 진행 맡아
이미지 확대
최성은 한국외국어대 폴란드어과 교수가 3일 서울 강남구 민음사 사옥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국내에 몇 안 되는 폴란드어 전문 번역가인 최 교수는 폴란드 소설가 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집 ‘기묘한 이야기들’을 비롯해 다양한 폴란드 문학을 한국어로 옮겼다. 민음사 제공
최성은 한국외국어대 폴란드어과 교수가 3일 서울 강남구 민음사 사옥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국내에 몇 안 되는 폴란드어 전문 번역가인 최 교수는 폴란드 소설가 올가 토카르추크의 소설집 ‘기묘한 이야기들’을 비롯해 다양한 폴란드 문학을 한국어로 옮겼다.
민음사 제공


폴란드 소설가 올가 토카르추크(62)는 2018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폴란드 시인 비스와바 심보르스카(1923~ 2012)도 1996년 같은 상을 받았다. 두 작가의 책 여럿이 이미 한국어로 소개됐지만 여전히 폴란드 문학은 우리에게 낯설다. 왜일까. 3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민음사 사옥에서 만난 최성은(53) 한국외국어대 폴란드어과 교수는 “여전히 세계문학의 지형도가 영어·독일어·프랑스어를 위시한 서구문학 중심에 있는 문화권의 기준과 승인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미지 확대
올가 토카르추크 소설가. ⓒ카르파티&자레비츠 민음사 제공
올가 토카르추크 소설가.
ⓒ카르파티&자레비츠
민음사 제공


최 교수는 지난달 23일 한국을 국빈 방문 중이던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에게 폴란드 십자장교 공훈훈장을 받았다. 그간 폴란드 문학을 국내에 꾸준히 소개하면서 양국 간 우호 증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얼마 전 국내 출간된 토카르추크의 단편집 ‘기묘한 이야기들’(민음사)을 한국어로 옮긴 것도 최 교수다.

“한국과 폴란드는 역사적 경험이 비슷하다. 한국이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숱한 외세의 침략을 견뎠듯 폴란드도 독일과 러시아 등 강대국의 압력을 겪었다. 폴란드는 무려 123년간 나라가 없었다. 그 와중에도 독자적인 언어를 가지고 문학의 꽃을 피웠다.”

고달픈 역사를 겪어서일까. 최 교수는 한국인과 폴란드인의 기질이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우선 정이 많다. 상다리가 부러지게 손님을 대접해야 직성이 풀리는 성미는 한국인과 폴란드인의 공통점이다. 흥이 많아 술을 좋아하고 노래와 춤을 즐긴다. 교육열이 높아 아이들에게 과외도 많이 시킨다고 하니 이 정도면 폴란드를 ‘유럽의 한국’ 또는 한국을 ‘동아시아의 폴란드’라고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일찍이 김광균 시인은 ‘추일서정’이라는 시에서 “낙엽은 폴란드 망명정부의 지폐”라고 노래한 적이 있다.

이미지 확대


“공산주의 국가였으니 수교를 맺은 1989년 이전에는 공식적인 관계가 없었다. 그래도 폴란드 문학이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던 건 아니다. 물론 폴란드어를 할 수 있는 전문가가 없었기에 여러 중역을 거쳤지만 네로 황제 시기의 로마를 배경으로 한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소설 ‘쿠오바디스’ 같은 작품이 이미 20세기 초에 번역됐다.”

두 나라 노벨문학상 수상자 사이의 독특한 인연도 재밌다. 과거 작가 한강(54)이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북토크를 열었을 때 토카르추크가 진행을 맡았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한강의 작품을 접한 토카르추크는 ‘채식주의자’의 열렬한 팬이다. 한강은 소설 ‘흰’을 집필할 당시 바르샤바에 머물렀고 소설에도 이 도시가 등장한다. 한강은 한 간담회에서 사람들이 총살당한 벽을 보존하고 애도하는 도시의 모습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토카르추크의 ‘기묘한 이야기들’은 제목 그대로다. 이질적이고 낯선 것들이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묘하게 흩뜨린다. 소설은 토카르추크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해인 2018년 폴란드어로 출간됐으며 국내에 소개되는 첫 번째 단편집이다. 소설 ‘녹색 아이들’의 마지막 문장이 압권이다. “세상의 주변부는 우리에게 늘 불가사의한 무력함을 안겨주므로.”(47쪽) 한국이나 폴란드나 늘 세계의 주변부였다. 최 교수의 작업은 주변부인 두 나라를 중심의 중개 없이 ‘직접’ 연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세계문학의 ‘빈틈’이 다양한 언어로 메워져야 한다. 앞으로 다양한 언어권의 다채로운 삶의 모습이 ‘중심’의 보장이나 승인을 거치지 않고 오롯이 전달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2024-11-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