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전 늪에 잠든 이 아이… 이야기로 ‘숨’을 불어넣다

2000년 전 늪에 잠든 이 아이… 이야기로 ‘숨’을 불어넣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10-11 01:44
수정 2024-10-11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초의 아이/로이스 로리 지음/강나은 옮김/비룡소/200쪽/1만 5000원

눈 가려진 채 ‘미라’로 발견된 십 대
SF 거장, 퍼즐 맞추듯 과거 재구성
최초의 여자 전사를 꿈꾸는 소녀
자연과 생명을 탐구한 소년 통해
‘최초’의 길 간 두 아이 이야기 소환
이미지 확대
독일 북부 빈데비 늪지에서 미라로 발굴된 시신 모습. 2000년 동안 늪 속에 보존된 미라는 인류학자의 조사로 10대 아이의 시신임이 밝혀진다. 현대 SF 최고의 고전이라 불리는 ‘기억 전달자’의 작가 로이스 로리는 빈데비 아이 시신 사진에서 신작 ‘최초의 아이’의 이야기가 시작됐다고 말한다. 위키피디아 캡처
독일 북부 빈데비 늪지에서 미라로 발굴된 시신 모습. 2000년 동안 늪 속에 보존된 미라는 인류학자의 조사로 10대 아이의 시신임이 밝혀진다. 현대 SF 최고의 고전이라 불리는 ‘기억 전달자’의 작가 로이스 로리는 빈데비 아이 시신 사진에서 신작 ‘최초의 아이’의 이야기가 시작됐다고 말한다.
위키피디아 캡처


결론은 정해져 있었다. 2000년 전 10대 아이가 죽었다는 것, 유독 왜소한 몸집을 지닌 아이는 금발이 반쯤 깎이고 정교하게 짜인 격자무늬 천으로 눈이 가려진 채 독일의 북부 빈데비 늪에 잠겨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작가는 ‘빈데비 아이’라고 불리는 ‘늪지 미라’에게 기꺼이 숨을 불어넣는다. 그리고 ‘최초’라는 이름을 붙여 다시 살게 한다.

이미지 확대
로이스 로리 작가
로이스 로리 작가


현대 SF 최고의 고전이라 불리는 ‘기억 전달자’의 작가 로이스 로리(87)의 신작 ‘최초의 아이’가 나왔다. 로리는 두 차례 뉴베리상과 보스턴 글로브 혼북 명예상을 받은 미국 청소년 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다. ‘기억 전달자’에 이어 ‘파랑 채집가’, ‘메신저’, ‘태양의 아들’까지 20년에 걸쳐 청소년 SF 소설 4부작을 완성하며 미래를 향해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 작가가 이번에는 마치 지그소퍼즐을 맞추듯 과거를 재구성한다. 작가는 이번 작품에서 독특한 시도를 한다. 전체를 모두 다섯 편으로 구성해 그중 세 편엔 에세이, 두 편에는 소설을 담은 것이다.

작가가 빚어낸 두 편의 소설에는 철기시대를 살아간 두 아이가 등장한다. 작가는 “내가 만든 허구의 두 인물 에스트릴트와 파리크는 실로 시대를 앞선, 자신이 사는 시대의 틀을 벗어나는 인물들이었다”고 소개한다.

그중 한 명인 에스트릴트는 최초의 여자 전사를 꿈꾸는 소녀다. 당시 여성들은 오랜 세월 반복된 임신과 출산, 고된 노동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에스트릴트는 세상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비집고 들어갈 계획을 세운다. 여자아이들에게는 “기대하지 마”라는 말이 익숙하고 남자 어른들과 아이들에게는 언제나 중요한 역할이 주어지는 현실 속에서 에스트릴트는 자신의 시간을 꿈꾼다. 비단 자신만을 위한 행보가 아니다. 마을 여자아이 모두의 인생, 에스트릴트의 여동생들과 아직 태어나지 않은 여자아이들의 인생까지도 염두에 둔 행보다.

또 다른 아이는 과학이라는 학문이 등장하기도 전에 자연과 생명을 탐구한 몸이 불편한 소년 파리크다. 그는 늪에 사는 늙은 부엉이와 의사소통을 하고 죽은 새나 송아지 뼈를 모아 ‘배움의 선반’에 올려 두고 관찰하며 탐구한다. 성치 못한 몸에 대장간 헛간에 사는 외톨이 신세여도 빛나는 지혜와 따스한 가슴으로 세상을 대한다.

이미지 확대


두 편의 소설 전후에 배치된 세 편의 에세이에는 어린 나이에 생을 마감한 것으로 추정되는 늪지 미라의 삶을 소설로 재창조해 보기로 하는 과정에서 작가 스스로가 무엇을 느끼고 생각했는지, 무엇을 상상했는지, 무엇을 이루고 싶은 마음으로 이야기를 써 나갔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에세이는 작가와 소설이 독자 가까이 다가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죽음으로 시작된 이야기는 역설적으로 그 죽음에 앞서 선행됐을 삶에 주목한다. 작가는 억압과 폭력이 아무렇지 않게 난무하는 사회 속에서도 ‘최초’의 길을 간 두 아이의 이야기를 소환한다.

작가는 이번 작품의 이유와 목적을 이렇게 밝힌다. “사람은 죽은 뒤에도 ‘누군가가 그를 기억하는 한’ 계속해서 살아 있다는 말이 있다. 나는 ‘그리고 그의 이야기를 하는 한’이라는 한마디를 덧붙이고 싶다.”
2024-10-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