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보고 오는 길에 글을 썼습니다
김중혁 지음/안온북스
520쪽/2만 4000원
소설가 김중혁
직업적 이야기꾼인 소설가들에게 극장은 또 다른 일터일 게다. 소설가는 본능적으로 남들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귀를 쫑긋 세우고 머릿속 안테나를 펼친다. 극장에는 사람들을 매혹하는 기상천외한 이야기들이 넘쳐난다. 대학 시절 강의실보다 극장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냈다는 김중혁(53)이 소설가가 된 건 영화에 대한 진한 애정 때문이 아닐까.
그간 여러 편의 영화 관련 책을 펴내고, TV에서도 영화 이야기를 해 온 김중혁의 신작 ‘영화 보고 오는 길에 글을 썼습니다’는 글 잘 쓰는 비법을 에세이로 풀어낸 작법서 같다.
그는 자신이 본 영화 중 “내 안의 뭔가를 건드린” 77편을 소개한다. 지난해 개봉한 한국 영화 ‘거미집’,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와 같은 근래 영화뿐 아니라 ‘컨택트’ 같은 10여년 전 영화들도 그의 리스트에 들어 있다. 모두 그의 내밀한 감성을 자극한 영화들이다.
그는 영화는 재료일 뿐 글쓰기의 본질은 영화로부터 시작되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소설가가 권하는 ‘영화+글쓰기’는 자기애를 실현하는 중독성 있는 작업이자 자신을 알아가는 방편이 된다.
보통 사람들인 우리는 TV 앞에서 ‘오늘은 무엇을 볼까’ 고민하지만 김중혁은 ‘어떤 문장으로 시작할까’ 혹은 ‘영화가 너무 좋아서 도저히 글을 쓸 수 없었다’며 편집자에게 읍소할 원고 펑크 변명을 떠올리는 걸 이 책을 보고 알았다. 그가 셀린 송 감독의 ‘패스트 라이브즈’를 예시로 든 글쓰기 과정은 마치 대치동 강사가 주입식 강의를 하듯 머릿속에 쏙쏙 박힌다. 영화를 볼 때마다 무엇이든 쓰고 싶고, 잘 쓰고 싶은 이들을 향한 사려 깊은 동업자 정신이라고 할까.
우리는 영화를 보면서 타인의 삶을 경험한다. 처절하고 비열하고 안쓰러워도 아름다울 수 있는 게 인생이다. 그러한 생에 더 많은 이야기가 추가될수록 우리의 세계도 더 넓어지지 않을까. 영화를 통해 새로운 곳으로 나아간다는 그의 에세이를 읽다 보면 영화가 보고 싶어지고, 글을 써 볼까 하는 마음이 생기는 자신을 발견할지 모른다.
2024-09-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