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해한 현대시?… 예리하게 읽어 내다

난해한 현대시?… 예리하게 읽어 내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6-16 23:55
수정 2024-06-17 08: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동·창비·문지, 시 비평 3선

시는 언제나 다양한 해석의 길을 열어 놓는다. 현대시는 이것을 극한까지 밀어붙이기에 한편으로는 난해하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그것의 의미와 맥락을 찾아 주는 것이 비평이다.

계간 ‘문학동네’(문학동네)와 ‘창작과비평’(창비)이 여름 호에서 나란히 오늘날 한국시와 비평의 현주소를 진단하는 시 평론 특집을 다뤘다. 본격적인 평론보다 다소 가벼운 리뷰 형식으로 동시대 시인들의 시를 예리하게 읽어 낸 젊은 평론가들의 글을 담은 ‘문학과사회’(문학과지성사)도 주목할 만하다.
이미지 확대
송종원 문학평론가와 창비 2024 여름호
송종원 문학평론가와 창비 2024 여름호
●“비평은 시를 가두는 일 멈춰야”

‘창작과비평’(204호)에 실린 송종원(44) 문학평론가의 글 ‘되찾은 님의 시간’은 요즘 시 비평이 놓치고 있는 지점을 뼈저리게 지적하고 있는 성찰적인 평론이다. 그는 한국 문학사에서 2000년대 이후 난해한 시 쓰기 경향을 보였던 일련의 시인을 지칭하는 ‘미래파’ 논쟁을 소환하며 “시 비평이 충실한 중개 이전에 난해함을 풀어내지 못했고 그리하여 누적된 이 문제가 미래파 논쟁까지 불러온 측면이 없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유행처럼 번지는 ‘비인간’ 담론으로 시를 읽어 내려는 독해의 맹점도 파고든다. 이런 시도에 대해 그는 “비인간 담론과 접속하여 시의 의의를 찾는 비평들은 인간의 자리로부터 발생한 의미를 부러 지운다”고 비판한다. 또한 “인간을 지우고 사물만을 이야기하는 순간, 이 시는 유행하는 담론의 어휘들 속에 휘말려 들어가 굴절되고 만다”며 “비평은 문학의 언어에 시를 가두는 일을 멈춰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미지 확대
하혁진 문학평론가와 문학동네 2024 여름호
하혁진 문학평론가와 문학동네 2024 여름호
●“인간은 인간을 포기하지 말아야”

‘문학동네’(119호)에 실린 문학평론가 하혁진(28)의 ‘멸망 이후의 에피파니’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폐허가 된 세계의 진상을 날카롭게 진단하면서 글을 시작한다. 그는 시인 박은지·손유미·한연희의 텍스트를 분석하면서 여전히 주체의 위치에 있는 인간의 윤리를 성찰한다. 그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번역할 수 없는 타자와의 무한한 관계 속에서 자신의 위상을 감각하는 인간”이라며 “인간에 대해 증언할 단 한 명의 인간도 남지 않을 때까지 인간은 인간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미지 확대
황사랑 문학평론가와 문학과사회 2024 여름호
황사랑 문학평론가와 문학과사회 2024 여름호
●“시란 실패를 위한 기계의 집이다”

‘문학과사회’(146호)에 실린 문학평론가 황사랑(35)의 ‘먼지와 기계의 집’은 한재범 등 이제 막 첫 시집을 엮은 시인들의 시집을 분석하고 거기에서 ‘건축성’이라는 독특한 성질을 읽어 낸다.

황사랑은 특히 정착하지 못하고 장소에서 밀려나는 것처럼 보이는 한재범의 시들을 “실패를 위한 기계의 집”으로 명명했다. 그러면서도 “계속되는 화자의 실패는 가능성의 다른 말”이라며 “실패의 지속은 ‘나’를 끝내지 않는 방법이자 미성숙한 ‘나’를 다듬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평한다.
2024-06-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