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 너머의 고요… 그 새로운 아름다움은 무엇일까

색채 너머의 고요… 그 새로운 아름다움은 무엇일까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5-17 03:03
수정 2024-05-17 0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록의 어두운 부분/조용미 지음/문학과지성사/132쪽/1만 2000원

이미지 확대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문턱. 세상은 겹겹이 초록이다. 방금 나온 흰빛을 띤 연두부터 줄기에서 떨어지기 직전의 검은 초록까지 각각의 명도와 채도를 지닌 채 무수한 초록을 선보인다.

조용미(62) 시인은 표제작 ‘초록의 어두운 부분’에서 초록의 풍경과 마주하고 있다. 이를 지극한 눈길로 오래 바라본 뒤 “초록의 거대한 상영관이 펼쳐졌다”고 말한다. 색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세상의 무수한 색채에 감정을 싣는다. “뭉쳐지고 풀어지고 서늘해지고 미지근해지고 타오르고 사그라들고 번지고 야위는” 초록을 보던 시인은 “녹색의 감정에는 왜 늘 감정이 섞여 있는 걸까” 의문을 갖기도 하고 “연둣빛 어둑함과 으스름한 초록 사이”에서 “알 수 없는 마음들이 신경성 위염을 앓”게 된다.

죽단화의 짙은 노랑 앞에서도 마찬가지다. 시 ‘노란색에 대한 실감’에 드러난 빛나는 아름다움 속에서도 시인은 기어코 어둠의 기척을 읽어 낸다. “울렁거림과 편두통”을 느끼며 “저것도 영영 아름답지는 않구나”라고 말한다.

박동억 문학평론가는 “시인에게 존재는 반개(半開)된 것, 즉 절반은 ‘나’이고 절반은 타인과 얽혀 있는 공간으로 비유된다”며 “이번 시집에서 음미할 것은 당신을 초대하는 동시에 타자들에게서 벗어나려 하는 듯한 이 이중의 포즈”라고 평했다.

반쯤 열린 존재는 자아를 열기 위한 것일까 아니면 닫기 위한 것일까. 시인은 받아들임을 선택한다. 사막화된 몸을 지닌 오래된 나무와 같은 존재인 ‘나’는 신경성 위염과 두통에도 불구하고 색의 심연을 바라보는 일을 멈추지 않는다. “세상의 붉고 푸르스름하고 노랗고 흰빛들이 나를 함께 나누어 가지도록 나는 기꺼이 허락한다”(‘색채감’)고 이야기한다.

박 평론가는 “시인이 바라는 것은 그러한 색채의 세계를 넘어서 획득하는 투명한 몸, 몸에 구속되지 않는 몸”이며 “홀연히 떠나 닿기를 바라는 장소는 다채로운 존재의 색채 너머에 있는 투명함, 즉 고요”라고 덧붙인다. 아름다움과 비루함, 고통과 연민의 세계 속에서 시인의 고요한 응시는 그 뒤에 찾아올 새로운 아름다움을 기다린다.
2024-05-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