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지 ‘쓺’ AI 시대 언어 조망
인간은 과정 통해 고유성 발현
인간이 AI 사고방식 체화 우려
로봇이 노트북 자판을 치고 있는 모습의 자료 사진. 인공지능이 시와 소설을 쓰고 음악과 미술 작품을 만드는 시대에 인간 존재는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펙셀즈 제공
펙셀즈 제공
소설가 서이제는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상대하며 이렇게 탄식했다.
문예 전문 반(半)연간지 ‘쓺-문학의 이름으로’(문학실험실) 2024년 상권(18호)은 이렇듯 문학 평론가들과 소설가, 시인들이 생각하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사유를 모아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그 개체성과 집단성’이란 주제의 특집을 다뤘다.
인공지능은 명령어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답을 제시하지만 명령어 너머나 그 틈을 보지 않는다. 세계를 패턴화한 인공지능은 세상에 없는 것도 만들어 내는 능력인 할루시네이션으로 명령을 충실히 따른다. 환각, 환영이라는 의미의 할루시네이션은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일종의 오류로 잘못된 답변을 생성해 내는 것을 말한다. 이는 물음 자체에 어떤 의문도 갖지 않고 회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쓺-문학의 이름으로
그런가 하면 소설가 정지돈은 ‘마음 기계 마음’이라는 글에서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인공지능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가이기보다 그것이 사람의 마음에 스며들어 세계를 바꿔 놓는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인공지능 윤리에 관한 지금까지의 질문을 바꿔야 한다고도 주장한다. 그 질문은 “인공지능이 우리처럼 생각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인공지능처럼 생각하는 것 아닐까”이다. 정지돈은 “인간은 늘 자신이 창조한 도구와 결합하고 도구에 의해 변화된 존재”였기 때문에 알고리즘이 인간의 편견을 반영하는 것처럼 인간도 알고리즘의 선택을 내면화하고 있지 않나를 물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편집의 글’에서도 이런 인공지능의 문제는 결국 인간의 문제이며 언어의 문제라고 지적한다. 상투적이고 도구적인 언어가 세상을 지배하는 한 깔끔하고 매끈한 언어로 점철된 그럴듯한 폭력의 세상을 벗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는 것이다.
2024-05-0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