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오버
데이비드 런시먼 지음/조용빈 옮김
와이즈베리/372쪽/1만 9800원
“인간이 감당 못할 부담과 책임
국가와 기업, AI에 이양한 것”
누군가가 인간이 17세기부터 AI와 함께 살았다고 주장하면 무슨 생각이 들까. 아마 ‘미친 사람의 헛소리’로 치부할 것이다. 그러나 17세기에 시작된 근대국가와 18~19세기에 형성된 근대 기업도 AI처럼 개인이 할 수 없는 일을 대신하는 ‘인공 대리인’이라는 점에서 보면 헛소리에 귀가 솔깃해진다.
이런 파격적 주장을 하는 주인공은 바로 명문 사립 이튼스쿨을 졸업하고 케임브리지대에서 정치사상을 전공한 뒤 모교 정치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이비드 런시먼 교수다. 그야말로 골수 정치학자이기 때문에 국가나 기업을 AI와 연관시켜 생각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런시먼 교수에 따르면 국가, 기업, AI는 ‘기계적 속성’이라는 측면에서 놀랄 만큼 공통점을 갖고 있다. 복제성, 긴 생명력, 개별 인간이 할 수 없는 영역을 대체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부담과 책임을 국가, 기업, AI에 ‘핸드오버’(handover·이양)했다.
저자는 국가, 기업, AI가 모두 효율성을 위해 움직인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효율성을 중시하는 시스템에서 개인의 사정이나 정체성은 허용되지 않는다. 저자의 문제의식은 이 부분을 파고든다. 기계적 속성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국가나 기업이 AI와 결합하고, 이들이 인간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날 경우 공상과학(SF)물에서나 볼 수 있는 인류 멸망은 현실이 되기 충분하다.
런시먼 교수가 “현대에는 현대 특유의 괴물이 있다. 이 괴물들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닌 초자연적 특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책장을 덮을 때가 되면 AI의 미래를 예측하려면 AI 자체보다는 AI의 ‘오래된 미래’인 국가와 기업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일이 필요하다는 저자의 처음 주장에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게 된다.
2024-01-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