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에 인간다움은 뭘까

AI 시대에 인간다움은 뭘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12-08 00:21
수정 2023-12-08 0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간다움/김기현 지음/21세기북스/340쪽/1만 9800원

인문학 대표 석학 김기현 교수
‘공감·이성·자유’ 3요소로 꼽아

신기술, 다른 차원의 도전 제기
“인간다움 고민 없이 미래 없어
결국 행복으로 가기 위한 관문”

이미지 확대
인공지능(AI) 로봇을 통해 인간성이란 무엇인지 묻는 영화 ‘크리에이터’의 한 장면. 신간 ‘인간다움’은 공감, 이성, 자유를 인간다움을 구성하는 요소로 제시하고 4차 산업혁명을 맞은 우리에게 “인간다움에 대한 고민 없이는 미래를 꿈꿀 수 없다”고 강조한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인공지능(AI) 로봇을 통해 인간성이란 무엇인지 묻는 영화 ‘크리에이터’의 한 장면. 신간 ‘인간다움’은 공감, 이성, 자유를 인간다움을 구성하는 요소로 제시하고 4차 산업혁명을 맞은 우리에게 “인간다움에 대한 고민 없이는 미래를 꿈꿀 수 없다”고 강조한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제공
지난 10월 개봉한 영화 ‘크리에이터’는 인공지능(AI)에 적대적인 서방국연맹과 평화롭게 공존 중인 뉴아시아로 나뉜 2070년의 지구를 그린다. 지구상 모든 AI를 제거하려는 서방국연맹과 달리 뉴아시아에는 자신이 키운 아이의 죽음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전원을 꺼 삶을 마감한 AI 로봇이 있을 정도다. 서방국연맹 군인이 뉴아시아 판자촌에 들어와 한 AI 로봇의 행방을 캐묻자 농민이 이렇게 말한다. “걔네는 너희들보다 인간적이야. 너희는 AI를 못 이겨. 이건 진화라고.”

AI가 우리 일상에 서서히 자리매김하는 요즘 영화가 던진 질문은 제법 묵직하다. 이성은 물론 공감 능력까지 갖춘 AI가 등장할 수 있을까. 모든 선택을 AI가 대신 한다면 인간에게 자율성이란 있는 것일까. 인간이 유한성을 극복한다면 삶의 의미는 어떻게 달라질까 등등. 이런 질문들에 답하기 전 우선 던져야 할 첫 질문이 있다. 바로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김기현 서울대 철학과 교수
김기현 서울대 철학과 교수
한국 인문학계를 대표하는 석학 김기현 서울대 철학과 교수는 공감, 이성, 자유를 인간다움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꼽고 이 요소들이 현실 속에서 인간다움을 구체화한다고 설명한다. 인간다움은 ‘공감을 연료로 하고 이성을 엔진으로 하며 자유로써 규범을 구성하는 성품’이라는 것이다.

인류 역사에서 각기 다른 시점에 성장한 이 요소들이 인류의 자산으로 자리잡는 역사적 과정을 추적한다. 역사가 신들의 이야기만은 아니며 인간도 삶의 주역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발현한 고대 그리스를 시작으로, 중세와 현대를 돌아보면서 인간다움의 변천을 살핀다.

인간의 삶이 신의 손에 놓여 있다는 시선은 철학이 출현한 기원전 7~8세기 무렵부터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성은 이렇게 전환의 시대에 인간을 수동적 위치에서 개척자의 위치로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어 르네상스 시대에는 개인의 이상과 꿈이 존중받고 다른 사람의 간섭 없이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삶을 영위할 권리를 인정받는다. 이런 흐름은 이미 무너지기 시작한 과거의 권위주의를 송두리째 흔들며 개인을 사유의 중심에 놓았다.
이미지 확대
현대에 들어오면서 인간다움은 오히려 위협받는다. 도덕의 체계가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분시켜 준다는 기존 생각들은 과학이 내미는 여러 실험에 밀리는 양상을 보인다. 공감 능력을 비롯해 윤리마저 진화의 산물이라는 연구 결과에 대해 저자는 단호하게 고개를 젓는다.

그러면서 우리가 마주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다움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AI와 생명과학의 결합으로 탄생한 새로운 기술은 인간다움에 대한 전혀 다른 차원의 도전을 제기할 터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공감, 이성, 자유는 또 어떤 양상으로 바뀔까. 저자는 이런 의문에 대해 “인간다움에 대한 고민 없이는 미래를 꿈꿀 수 없다”고 단언한다.

인간다움이 향하는 지향점이 ‘행복’이라는 결론 부분은 곱씹어 볼 만하다. 먹고, 자고, 배설하는 기본적인 감각적 욕구 충족을 넘어서는 행복 추구는 동물과 인간 그리고 AI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인간다움은 개인의 행복을 희생하며 따라야 하는 도덕적 규범이 아니라 행복으로 가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관문이다. “행복에 대해 어떤 생각을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사람들의 최종 목적지가 달라지고, 그 결과 미래 사회의 모습도 달라질 것”이라는 저자의 말은 인간다움을 논할 때 흔들리지 않는 기준이 될 법하다.
2023-12-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