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을 위한 철학서 봇물
한 장 남은 달력을 보면 ‘그동안 뭐 하고 살았지’라는 생각이 스친다. 잘하고 행복했던 순간보다 실수하고 힘들었던 기억이 더 많이 떠오른다. 오죽하면 ‘뇌는 행복을 기억하지 않는다’는 책이 나올 정도다.소셜미디어(SNS)에서 보이는 사람들은 나와 달리 모두 행복해 보일 때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걸까”라는 고민에 머리가 복잡해진다. 이 때문일까. 요즘 서점가에서는 불안, 좌절, 우울, 무기력감에 사로잡힌 현대인들을 위한 철학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철학책들은 자기계발서에 나오는 하나 마나 한 뻔한 이야기를 던지는 대신 삶에 제대로 주의를 기울여 집중할 수 있는 ‘생각의 근육’을 키우라고 조언한다.
‘해방하는 철학자’(다산북스)는 현대를 ‘생각 상실의 시대’라고 진단하면서 시작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SNS에는 수많은 정보가 조작되거나 오류인 채로 쏟아지고 있다. 당면한 문제나 다가올 위험에 어떤 전문적 의견이나 전망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대인이 불안, 좌절, 무기력감에 사로잡혀 몰입과 성찰에서 멀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책은 이야기한다.
영국 왕립철학협회 학술원장 출신인 저자는 “철학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이 정치나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고 세상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 준다. 자기계발서나 대중 심리학책과 다른 점은 책에서 제시하는 생각법만 따라 하면 금세 사유의 힘을 얻을 수 있다고 사탕발림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시종일관 ‘제대로 생각하는 것’은 쉽지 않고 왕도나 지름길은 없다고 강조한다. 생각하는 힘은 천천히 힘들게, 제대로 해야 기를 수 있다고 하는 저자의 조언이 자기계발서들보다 훨씬 공감되는 이유다.
미국 예일대 인문대학 교수들이 함께 쓴 ‘가치 있는 삶’(흐름출판)도 사는 게 힘들고 무기력감을 느껴지는 순간이야말로 ‘좋은 삶’에 대해 질문을 던져야 할 때라고 말한다. 현대인이 철학책을 멀리하는 이유는 어렵기도 하지만 자신의 고민에 대해 자기계발서처럼 즉각적인 답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자기계발서가 내놓는 해법들은 대부분 ‘영양분 없이 단맛만 있는 싸구려 과자’와 같다고 비판한다. 이 책에서도 저자들은 가치 있는 삶, 좋은 삶에 대해 하나의 답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계속 질문을 던진다.
저자들은 여러 사람이 선택하는 평범하고 편한 길이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그 길을 따라가서는 안 된다고 조언한다. 많은 사람이 선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만으로 그 삶이 선하다고 할 수 없으며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 치열하게 생각하고 스스로 답을 제시해야 좋은 삶이라는 것이다.
2023-11-2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