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밍 사회/이토 마사아키 지음/유태선 옮김/북바이북/220쪽/1만 7000원
개인을 몰아세우는 비난·비방글때론 사회운동에 유효한 수단 돼
플레이밍(flaming)은 활활 타오른다는 뜻으로 온라인에서 비난이나 비방 글이 빠르게 올라오는 현상을 가리킨다. 지은이는 악성 게시물, 사이버 불링 등 부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해시태그 달기나 캔슬컬처 등 긍정적 힘들을 모두 들여다보려 한다.
관심받고 싶은 마음, 소수자를 돕겠다는 선의, 깨어 있는 사람이란 자의식, 인정 욕구 등 다양한 욕망과 감정이 작동해 사회현상의 답을 찾는 과정을 플레이밍이라고 본다. 코로나19 팬데믹 때 완장을 찬 듯 이웃을 감시했던 ‘자숙 경찰’에서 내 모습이 겹쳐 보인다. 아르바이트생이 손님에게 제공하는 상품에 장난을 치고 이를 촬영해 기업에 타격을 주는 행위를 통해 어떤 동기와 욕구, 사회 상황이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하는지 살핀다.
차별을 둘러싼 문제는 오늘날 굉장히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데 반차별 운동이 벌어지는 한편 ‘반반차별주의’란 움직임까지 벌어지는 일도 다룬다. 연예인을 향한 악성 게시물이 단순한 반감이 아니라 그릇된 공감의 결과란 지적도 흥미롭다. 해당 장의 제목은 ‘공감 시장주의’다. 그렇게 한 개인을 벼랑 끝으로 몰아가는 움직임도 사회 정의와 결합하면 소수자에게 힘을 주고 사회운동에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캔슬컬처를 중심으로 진단한다.
그런데 다소 피곤하고 힘들어졌다. ‘인스타그램이 보급된 2010년대 중반 이후 젊은이들은 어떻게 자신을 어필하면서 친구들의 공감을 얻을 것이냐는 명제에 필사적으로 임해 왔다. (중략) 즉 자기 자랑을 하면서 동시에 자랑이 아니라는 어필도 해야 한다. 그렇게 공감이 반감으로 바뀌지 않도록 잘 피하면서 얻은 공감의 양이 그들의 인정 욕구를 충족한다’(168~169쪽)니 말이다.
2023-03-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