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시안 연재물 등 묶어 출간
한윤수 소장. 연합뉴스
20일 서울 중구 저동 국가인권위원회 강의실에서 ‘떼인 월급 받아 내는 데 선수’ 소리를 들었던 한윤수(75) 소장이 취재진을 만나 3년의 출간 작업 소회를 털어놓았다. 외국인 근로자가 느꼈을 모멸과 경멸, 불청객과 오랑캐 취급 등이 ‘오랑캐꽃’이라는 표현에 적나라하게 담겼다. 그들의 애환, 목소리, 아시아의 얼굴들이 가감 없이 담겼다.
한 소장은 “43년 전 (야학을 하며 목격했던) 한국인 노동자들이 당한 것을 외국인 노동자들이 똑같이 당하고 있더라고요. 외국인 노동자들의 얼굴이 예전 한국 노동자들의 얼굴과 겹쳤습니다. 그래서 시작하게 됐죠”라고 2007년 6월 센터를 열어 무료 법률상담에 나선 이유를 설명했다.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기록이 국내에 전혀 없다는 점, 정부도 기업도 누구도 관심이 없다는 점을 깨닫고 그들의 삶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3D 업종에 이들을 투입하기 위해 1990년대 초 산업기술 연수생 제도가 시작됐고 2003년에 고용허가제가 도입됐다. 이들은 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지만 처우는 근본적으로 나아지지 않았다.
‘돈말결’이란 말이 있다. “외국인은 돈 적게 줘도 되고, 말(불평)이 없고, 결근이 없다”는 뜻이다. 한 목사는 “출간을 기뻐하기에는 이들의 삶이 너무 힘겹다”면서 “(이번 책이) 이주 노동자 문제를 본격적으로 점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2023-02-2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