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各自圖死’… 알아서 잘 죽어야 합니까

‘各自圖死’… 알아서 잘 죽어야 합니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3-02-17 00:36
수정 2023-02-17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각자도사 사회/송병기 지음/어크로스/264쪽/1만 6000원

“존엄한 죽음 말하기 앞서
존엄하게 살 수 있는 사회
충분한 돌봄 있는 시스템
사회의 지속적 관심 필요”

이미지 확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죽음은 집에서 맞는 것이었다. 집 밖은 물론 병원에서 사망하는 것도 꺼렸다. ‘객사’의 범주에 들기 때문이다. 통계가 확연히 바뀌었다. 한 신문 보도에 따르면 2019년 병원사의 비율은 90%까지 치솟았고, 재택사는 10%대에 머물렀다. 건강보험 등 각종 사회 보험이 광범위하게 자리를 잡으며 생긴 변화다. 한때 ‘집안일’이었던 한 인간의 생애 말기 돌봄과 죽음은 이제 ‘사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일’이 됐다. 덩달아 존엄사, 안락사 같은 섬뜩한 단어들도 일상으로 들어왔다.

‘각자도사 사회’는 우리의 일상과 공동체를 ‘죽음’이라는 렌즈로 들여다본 책이다. 집, 노인 돌봄, 호스피스, 콧줄, 말기 의료결정 등 생애 말기와 죽음의 경로를 추적하고 있다. ‘각자도생’이란 표현을 비튼 책 제목은 ‘각자 알아서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자’는 주장이 아닌, 먼저 존엄한 사회를 만들어야 존엄한 죽음도 말할 수 있다는 역설이다.

모든 인간은 의존적이다. 한데 우리는 유독 노인만 의존적인 존재인 것처럼 딱지를 붙인다. 책은 사회적 자본이 빈약한 노인에게 집에서 죽어 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지, 정부 정책이 노년에게 취약한 삶에 ‘적응’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닌지 질문을 던진다. ‘임종 처리’ 기관이 되다시피 한 호스피스제도, 존엄사 관련법 등도 살핀다. 나아가 무연고자, 현충원, 웰다잉 등의 키워드를 제시한 뒤 죽음을 둘러싼 국가와 개인의 관계와 불평등 문제도 짚는다. 정책 당국자뿐 아니라 개인도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다.

저자는 “왜 사람들이 일·가난·학대·고립·차별로 죽는지, 그 ‘사건 사고’가 어떻게 나의 노화·질병·돌봄·죽음과 연결되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존엄한 죽음을 말하기 앞서 존엄하게 살 수 있는 사회, 누구에게나 충분한 돌봄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과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23-02-1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