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불안 믿음 깨지면 도시는 없다

불평등·불안 믿음 깨지면 도시는 없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11-17 17:36
수정 2022-11-18 02: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시의 생존: 도시의 성장은 계속될 것인가/에드워드 글레이저·데이비드 커틀러 지음/이경식 옮김/한국경제신문/628쪽/2만 8000원

‘도시의 승리’ 호언장담한 글레이저
신작서 과거 자신의 예측 실패 인정
지속 가능한 도시에 대해 깊이 연구
고층 건물보다 그 안의 사람이 중요
감염병 등 위협으로부터 해소 위해
‘더 나은 정부’ 만들기에 더 힘 쏟아야
이미지 확대
도시를 특징짓는 것은 고층건물이 아니라 그 안에서 사는 사람들이다. ‘도시의 생존’ 저자들은 건물이 낡았더라도 사람들이 활발하게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다면 도시는 오랫동안 생존하고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시카고의 모습. 언스플래시 제공
도시를 특징짓는 것은 고층건물이 아니라 그 안에서 사는 사람들이다. ‘도시의 생존’ 저자들은 건물이 낡았더라도 사람들이 활발하게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다면 도시는 오랫동안 생존하고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시카고의 모습.
언스플래시 제공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쿨하게 인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11년 전 ‘도시의 승리’라는 책으로 도시경제학 분야에서 일약 스타로 부상한 미국 하버드대 에드워드 글레이저 교수는 신작에서 과거 자신의 예측이 틀렸음을 과감하게 인정하고 시작한다. ‘도시의 승리’에서 글레이저는 9·11 테러를 딛고 일어나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는 뉴욕을 사례로 들며 도시의 발전을 가로막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호언장담했다. 코로나19는 9·11 테러보다 더 강력한 펀치를 날려 많은 도시를 빈사상태로 만들었다. 코로나19 여파가 여전한 현재도 그는 ‘도시의 승리’를 장담하고 있을까.

글레이저 교수는 전 세계 인구의 76%, 한국은 그보다 심한 91%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라는 존재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는 좀더 강력한 도전이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번 책에는 정치 성향이 자신과 다른 동료이자 공공경제학자인 데이비드 커틀러 교수와 함께 전작보다 더 많은 사례와 선행 연구를 분석했다. 150쪽 넘는 주(註)만 봐도 얼마나 치열하게 연구했는지 알 수 있다.

많은 한국인은 은퇴 후 도시를 떠나 전원생활을 꿈꾼다. 저자들은 전원생활보다 도시에서 얻을 수 있는 행복이 훨씬 크다고 단언한다. 도시야말로 사람들과 부대끼며 인간적 연결성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질 수 있는 행복의 장소라는 것이다. 도시를 발전시키고 많은 사람이 찾는 곳으로 만들려면 건물 같은 하드웨어가 아니라 사람들이 편안함을 느끼고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장착에 더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공공기관, 정부부처를 이전하고 새로운 건물만 지을 뿐 정작 거기서 살아야 할 사람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는 한국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대목이다.
이미지 확대
저자들은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은 물론 치안, 불평등처럼 도시 생활을 위협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고 똑똑한 정부가 필요하다고 시종일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공공 부문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개선하겠다는 사회의 전반적 약속이 사라지면 도시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큰 정부냐, 작은 정부냐는 논쟁은 쓸데없으며 진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정부’를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라고 꼬집고 있다.

이처럼 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없으면 도시의 승리는커녕 도시의 생존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저자들의 지적은 작은 정부를 주장하는 보수층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젠트리피케이션처럼 도시가 발전하면서 생기는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도시 개발 같은 도시의 횡적 확장보다는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밀집 지역에 고층 건물 짓는 것을 비롯해 더 많은 개발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진보 측이 발끈할지 모른다.

저자들은 도시의 붕괴는 감염병이나 테러에 의한 것이 아니라 도시민이 공동의 목적을 가진 운명 공동체라는 믿음을 잃고 현재 상태에 대한 분노가 그 자리를 대체할 때 시작된다고 강조한다. 부자와 중산층, 빈자 모두 공존할 수 있는 행복한 도시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은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 줄 것이다.
2022-11-1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