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옷장
문학은 대개 픽션, 즉 ‘사실이 아닌 상상에 의해 쓰인 이야기’지만 에르노는 “직접 체험하지 않은 허구를 쓴 적은 한 번도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그의 말대로 모든 작품이 자신의 경험담이다. 1974년 출간한 그의 데뷔작 ‘빈 옷장’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폭력을 자신에게 일어난 일임에도 지극히 담담한 어조로 풀어낸다. 사전 정보 없이 마주한다면 다소 충격을 받을 만한 자신의 낙태 이야기로 시작한다. 낙태 전문 산파와 형식적으로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는 스무 살의 삶을 기록해야겠다고 생각한다.
“지금 내가 느끼는 것을 묘사하거나 이 끔찍한 순간이 지나가게끔 도와주는 대목은 한 구절도 없다. 탄생, 결혼, 임종, 모든 상황마다 그에 따른 기도가 존재하지 않는가. 모든 상황에 맞는 구절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작가는 시선을 과거로 돌린다. 가난한 아버지는 공장 노동자였지만 특유의 성실함으로 카페 겸 식료품점을 열며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기 시작했다. 읽지도 쓰지도 못했지만 아버지는 문학을 공부하고 중등교사자격시험에 합격한 딸을 대견스러워한다. 그렇다고 자애로운 아버지는 아니었다. 물질적 필요에만 얽힌 그의 삶은 팍팍했고, 딸에게 살가운 말 한 번 전하지 못하는 존재였다.
세상 모든 가족이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감수성 예민한 딸은 가족들에 대해 적잖은 수치심을 느낀다. 그 기록은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고스란히 남았다. 작가는 이런 상황 속에서 날 선 말들이 날아들었다고 고백한다.
“내가 피하려 했거나 혹은 의도치 않게 잊어버렸던 그 말들이 사방으로 들어왔다. 나는 처음의 것, 진짜를 되찾을 수 없을 것이다. 학교, 책 속의 단어들은 이제 아무 소용 없다. 그것은 증발한 말들이며, 눈속임이며, 쓰레기들일 뿐이다.”
독특한 작가로 치부하기에 그의 문학은 매력적이다. 에르노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지난 세월의 삶, 아니 숨을 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언제든 겪을 법한 놀라운 이야기를 우리 앞에 풀어놓는다. 문학이 꼭 픽션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는 것을 작품 자체를 통해 우리에게 보여 줬다. 언젠가 이 상을 받았어야 할 작가가 받았다는 상투적인 말로, 글을 마친다.
출판도시문화재단 사무처장
2022-10-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