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사람에게 말을 걸면/조 코헤인 지음/김영선 옮김/어크로스/408쪽/1만 7800원
현재 지인도 한때는 모두 낯선 이우연한 대화가 오늘 인연 이어줘
인간 친화력 타고나 인류가 발전
복지 갖춘 유럽 타인 친화력 낮아
고독감 크고 사회문제로 이어져
사회 신뢰 구멍 생겨 두려운 시대
낯선 이와 대화는 행복·건강 증진
무관심이 당연해진 시대에 저널리스트인 조 코헤인은 ‘낯선 사람에게 말을 걸면’을 통해 낯선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어떤 이점이 있는지를 저술했다. ‘낯선 사람의 힘’(The Power of Strangers)이란 직관적인 원래 제목처럼 저자가 직접 낯선 사람에게 말을 걸어 어떤 효과가 나타났는지와 과학적인 근거 등을 통해 낯선 사람과 다정하게 지내는 것의 의미를 점검한 것이다.
지난 몇 년간 연구자들은 낯선 이와 대화를 나누면 더 행복해지고, 정신적으로 건강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럼에도 선뜻 대화를 하지 못하는 이유는 낯선 이와 상호작용이 잘되지 않으리라고 예상하는 두려움 때문이다. 상대방이 나와 같은 인간임을 알면서도 말을 나누기 전까지는 마치 사물처럼 여기고 괜한 두려움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미국의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이 표현한 ‘예의 바른 무관심’이 하나의 미덕처럼 자리잡았다. 낯선 사람은 위험하다는 메시지도 널리 퍼져 있어 사람들의 신뢰 능력도 손상됐다.
저자는 “낯선 이에게 말을 걸면 모든 사람이 공유할 만한 의미 있는 것을 적어도 하나는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고 말한다. 대화의 소재만 찾아내면 이야기는 쉽게 이어지고, 그 과정에서 뜻하지 않은 통찰력과 정보 등을 얻게 된다. 대화자의 행복감도 높아진다. 낯선 이들에게 보이는 친화력은 인간의 타고난 능력이며, 이를 통해 인류가 발전해 왔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복지체계가 잘 갖춰진 일부 유럽 국가에서 오히려 이방인에 대한 친화력 순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저자는 국가가 뭐든 알아서 해 주는 사회에선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이 그다지 필요 없다고 분석한다. 이런 사회에선 사람들이 느끼는 고독감이 크고 이는 사회문제로까지 이어진다. 영국이 ‘고독부 장관’을 뒀을 만큼 고독은 사회가 다뤄야 할 중대한 문제로 취급되는 시대다. 반대로 정부의 수준이 낮은 국가에선 의외로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끈끈하고 서로에 대한 신뢰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우리가 지금 알고 지내는 사람들도 한때는 모두 낯선 이였다. 우연한 대화가 오늘의 인연으로 이어졌음을 생각해 보면 낯선 이에게 말을 거는 일은 인생을 바꾸는 중요한 일일 수 있다. 저자는 “우리는 중앙기관이 약화되고 사회 신뢰에 커다란 구멍이 생기는 두렵고 혼란스런 시대에 살고 있다”면서 “서로 협력하는 것이 우리에게 가장 큰 이득이며 친화력은 두려움의 해독제”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친근함, 공통 관심사 연결, 안심시키기 등 사람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실용적인 조언도 건넨다. 비대면 시대에 외롭지 않을 수 있는 비결은 결국 사람과의 대화다. 책을 읽고 나면 낯선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다른 세계를 만날 용기가 한 뼘 커진 기분을 느낄 수 있다.
2022-09-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