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가 우리한테 해 준 게 뭔데?
프라우케 피셔·힐케 오버한스베르크 지음
추미란 옮김/북트리거/292쪽/1만 8000원
생물 다양성 연구에 천착해 온 독일 생물학자 프라우케 피셔와 경제학자 힐케 오버한스베르크는 공저 ‘모기가 우리한테 해 준 게 뭔데?’에서 그렇지 않다고 단언한다. 예를 들면 좀모기는 초콜릿의 원료가 되는 카카오꽃의 유일한 수분자이기 때문에 이들이 없으면 우리가 초콜릿을 먹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수천 종의 모기는 조류·작은 박쥐·어류·파충류·양서류의 중요한 먹이다. 모기가 없다면 이들 중 몇몇이 멸종하게 되고 이에 따른 생태계 교란의 피해는 결국 인간에게 돌아온다.
저자들은 이처럼 인간이 생태계에 존재하는 800만종 가운데 한 종일 뿐임을 강조하며 모든 생물이 알고 보면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의 삶을 지탱해 준다고 설명한다. 오히려 인간이 다른 생태계에 군림하며 다른 생물을 멸종시키는 현 상황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 지구상에 생물이 출현한 이래 대멸종이 다섯 차례 있었는데 인간이 전체 생태계에 개입하며 ‘6차 대멸종’을 부르고 있다는 것이다. 농지나 운송로를 얻고자 습지를 개간하고 밀림에서 각종 자원을 채취하는 것, 관광 산업의 발달 등이 생물 다양성 파괴에 일조한다. 애초 코로나19나 에볼라 바이러스도 깊은 숲에서만 존재하던 것인데 인간이 숲을 정복하면서 이들 바이러스와 맞닥뜨리게 됐다.
인간이 생산한 농산물 총칼로리 중 인간이 섭취하는 것은 5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동물 사료(36%)나 바이오 연료(9%)로 사용된다. 이에 저자들은 동물성 음식을 삼가고 식물성 음식을 더 많이 섭취한다면 경작지도 덜 필요해지고 생물 다양성도 회복된다고 주장한다.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재료를 사고 고기와 유제품을 덜 먹는다면 조금이라도 지구를 살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책 곳곳에 생물 다양성을 보존해 인류의 미래를 지키고자 하는 절박함이 묻어난다.
2022-08-1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