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 조선을 관통하다’ 저자 정민 한양대 교수
韓초기 교회사 행간 분석정약용 배교의 진심 묻고
‘만천유고’ 실제 저자 따져
‘전도 핵심’ 약국들 재조명
“비판과 생산적 논의 바라”
최근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를 출간한 정민 교수가 지난 3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에 있는 자신의 연구실에서 책을 들고 18세기 조선 사회를 흔들었던 서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18세기 후반 서학이라 불린 천주교의 흔적은 간단히 네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조금 더 관심을 가지면 단어들 사이에 ‘천주실의’, ‘남인’, ‘정약용’, ‘신유박해’ 등의 역사적 소재들이 끼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러 기록 속에 파묻힌 소재들이 뒤얽힌 맥락을 살피다 보면 뭔가 강렬한 것이 휩쓸고 지나갔음을 눈치채게 되고, 서학이 단순히 앞의 네 단어로만 요약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는 정민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짧은 시간 숨 가쁘게 전개됐던 한국 초기 교회사의 행간을 살핀 책이다. 지난 3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에서 만난 정 교수는 책 제목에 대해 “지진이 일어난 후 흙이 덮이고 그 위에 새로 집을 지었다고 해서 별일 없었다고 할 순 없는 것처럼 서학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어도 어마어마한 상처를 주고 지나갔다. 그저 스쳐 지나간 게 아니라 조선 사회를 꿰뚫고 지나갔다는 점에서 ‘관통’을 썼다”고 설명했다.
말이 그렇다고 뜻까지 그런 것은 아닌 행간의 숨은 의미를 살피기 위해 정 교수는 방대한 자료를 파헤쳤다. 초기 교회사를 놓고 각자의 처지에 따라 감출 것은 감추고, 골라서 믿고, 외면했던 사실들을 제3자 입장에서 다루다 보니 누군가에겐 불편할 진실도 담게 됐다. 정약용이 순교자들을 위해 사발 지석을 써준 것을 통해 그의 배교 선언이 진심인지, 조선인 최초로 세례를 받은 이승훈이 남겼다고 전해 온 ‘만천유고’가 과연 이승훈의 것인지 등을 따져 묻는 것이 그렇다.
서학이 이처럼 오늘날에도 논쟁적일 수 있는 이유는 그의 말대로 조선을 꿰뚫고 갔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당시 조선 학자들이 싸우나 마나 한 이야기로 싸울 때 중국에 간 사람들은 세상이 얼마나 초고속으로 변하는지 실감했다”면서 “‘이게 뭐지?’ 하고 충격받았는데 다녀와서 ‘주자가 아니면 입도 떼지 말라’며 가렴주구를 일삼는 걸 보니 얼마나 화났겠느냐. 천주학의 토양은 조선의 썩은 정치와 성리학이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빛에 열광하는 사람이 급격히 늘고, 결국 신유박해처럼 역사에 남는 사건으로 이어졌을 만큼 서학은 조선 후기를 관통한 사건이었다.
위압감을 주는 두께에, 조선 시대 정치와 종교를 다룬 학술서라는 점에서 선뜻 손대기 어려워 보이지만 책을 펼치면 역사 드라마를 보는 듯한 전개가 흥미롭다. 풍성한 사료를 통해 당시를 입체적으로 복원한 덕에 인물이며 상황이며 생동감이 넘친다. 말년의 안정복이 서학에 마음이 쏠린 이들을 설득하려고 ‘천학고’와 ‘천학문답’을 지은 대목에선 독기를 품은 늙은 유학자가 그려지고, 서학 전파에 핵심적 역할을 한 약국들의 이야기는 독자들 앞에 18세기 한양의 골목길을 펼쳐 놓는다.
정 교수는 “균형 잡힌 사고 속에서 조선 사회에서 서학이란 과연 무엇이었고, 서학을 통해 어떻게 조선을 새로 볼 수 있는지 이야기하고 싶었다”면서 “독자들이 균형을 갖고 읽어 본 뒤 다시 논의가 시작되면 좋겠다”고 당부의 말을 남겼다.
2022-08-0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