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은 없다
로이 리처드 그린커 지음/정해영 옮김/메멘토/600쪽/3만 3000원
우생학, 조현병·유색인 규제 활용
시리얼, 수음 줄이는 발명품 시초
월남전, 스트레스 환경 요인 조명
한국전, 심리적 대화 치료 일상화
향정신병약 개발, 통원치료 효과
19세기 초 영국과 프랑스에 끌려가 대중 앞에서 알몸으로 전시대에 서야 했던 남부 아프리카 여성 사라 바트만을 그린 프랑스 판화. 당시 아프리카 흑인은 유럽인과 전적으로 다른 종이자 동물에 가까운 원시적 신체 구조로 여겨졌다.
메멘토 제공
메멘토 제공
1차 세계대전 당시인 1917년 벨기에의 응급치료소에서 한 영국 부상병(왼쪽 아래)이 폭발로 인한 신경 불안 증세인 ‘탄환 충격’ 증상으로 멍한 표정을 짓고 있다.
메멘토 제공
메멘토 제공
켈로그의 ‘콘플레이크’(시리얼)는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이 성욕을 억제한다는 생각에 따라 20세기 초 정신 질환으로 여겼던 수음(자위행위)을 줄이기 위한 발명품이었다.
6·25전쟁 당시 미국 육군이동외과병원(MASH)으로 이동하기 위해 차량에 오르는 부상병들.
메멘토 제공
메멘토 제공
많은 정신보건학자들은 정신 질환을 뇌의 장애로 이해하고, 뇌를 치료함으로써 낙인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신 질환을 당뇨나 심장병처럼 분류하려는 시도에 저자는 반대한다. 복잡한 유전적 특징은 정신 질환 원인의 일면일 뿐이며, 임박한 정신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검사는 없다. 인간의 뇌는 다른 장기와 달리 쉽게 해부할 수도 없다. 저자는 가장 큰 문제는 어떤 사람을 그의 뇌로 환원하는 것은 누군가를 그 사람의 유전자나 인종, 종교, 성별, 성적 지향으로 환원하는 것만큼이나 단순하고 비인간적이라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 저자가 2006~2011년 한국에서 진행한 자폐증 연구도 흥미롭다. 한국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자폐증으로 진단받길 거부하고 유전과 연관성이 적은 ‘반응성 애착장애’(RAD) 진단을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자식이 자폐아로 낙인찍힐 경우 혈통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다른 자식의 혼사에도 악영향을 줄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항정신병약의 개발로 많은 환자가 시설을 떠나 통원치료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안과 정신병을 줄였고, 일본에서 2002년 정신분열증을 ‘통합실조증’으로 바꿔 불러 치료 가능한 질환으로 인식하게 된 변화에 주목한다. 생생한 사례와 명쾌한 해설을 따라가다 보면, 정신 질환에 새겨진 낙인을 해체하는 일은 결국 우리의 몫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2022-07-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