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경문 지음/백광열 옮김
너머북스/584쪽/3만 2000원
평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양반도 아닌 중인, 향리, 서얼, 무반, 서북인 등 조선시대 제2 신분집단을 연구한 책이다. 한 권의 족보를 그리듯 근대 한국의 인맥을 낱낱이 살폈다. 저자가 주로 들여다본 건 이 집단의 후손들이 현대 한국의 출현에 미친 영향이다. 제2 신분집단 후손들의 지위 상승은 거의 전적으로 출신에 좌우됐던 조선의 신분 사회에서 벗어나 교육과 부 등 다양한 요인이 지위를 결정하는 근대 한국으로의 전환을 보여 준 획기적인 현상이었다. 현 한국 사회 역시 선진국으로의 전환기를 맞고 있다. 또 다른 특권과 기회 불평등이 안착할 토양 위에 선 셈이다. 이 같은 과거를 살펴 현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자는 것이 저자의 의도다.
대부분의 중인들에겐 특성이 있다. 바로 부(富)다. 유명한 역관과 의원, 화원 등 중인들에겐 믿기 어려울 만큼의 부가 있었다. 조선시대 때는 위계의 척도였던 관직에 접근하기 위해 부를 활용하기 어려웠지만 20세기 초엔 훨씬 용이해졌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중인 관료들은 정부 상층의 신진 세력으로 격상됐다. 왕실 묘자리 지관을 아버지로 둔 육당 최남선처럼 제2 신분집단의 후손들은 부유하고 인맥도 풍부한 선대의 도움 아래 최고의 교육을 받으며 성장할 수 있었다.
향리 이야기도 풍성하다. 호장, 이방 등 전국의 향리들은 토지 소유를 통해 부를 축적했다. 경북 예천의 경우 20세기 초 4개 대지주 가문이 모두 향리 가계였다. 향리 후손들은 선조의 부를 활용해 신학문에 힘을 쏟았다. 한글학자 최현배는 울산 호장의 아들이었고, 이상정·상백·상화 등 대구의 삼형제도 향리 가문 출신이었다.
동북부 변방 출신의 조선 태조 이성계가 유독 평안도, 함경도 등 서북 출신들을 배척한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니 문벌을 중시한 조선의 양반들이 서북인들과 교유하지 않은 건 당연했다. 서북 지방에 양반 계급이 드문 이유다.
하지만 이동휘, 안창호, 조만식, 박은식, 김구, 이승만 등 20세기 전반 한국의 명사 인명록은 서북 출신을 빼고 작성할 수 없을 정도다.
2022-07-1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