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4일 노동이 답이다
안나 쿠트 외 2인 지음/이성철·장현정 옮김
호밀밭/136쪽/1만 5000원
‘주4일 노동’의 핵심 전제는 ‘임금 삭감 없이’다. 이른 새벽부터 일을 시작하거나 몰아치기를 하는 등 노동의 형태를 유연하게 적용하자는 주장도 담겼다. 물론 “주 40시간 노동으로 세상을 바꾼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단언한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나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1주일에 6일 일한다는 ‘996 루틴’을 옹호한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 신이 우리에게 부여한 ‘표준 노동시간’이 있다고 믿는 이들로선 펄쩍 뛸 주장이다. 한데 2008년 미국 유타주의 대담한 실험, 네덜란드의 자발적 단축 등 임금 삭감 없이 노동시간을 단축하고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사례는 매우 많다. 특히 생산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스, 멕시코 등은 연간 노동시간은 많은데 생산성은 유럽 국가들보다 낮다. 유럽 국가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 2018년 독일의 1인당 연평균 노동시간은 1363시간으로 영국의 1538시간보다 훨씬 적었다(한국은 지난해 1908시간으로 수치가 집계된 38개국 가운데 4위다). 하지만 독일의 시간당 국내총생산(GDP)은 영국보다 높았다. 독일 노동자들이 “우리가 목요일 점심때쯤 장비를 내려놔도 영국 노동자들이 금요일까지 일한 것만큼은 해 놨을 것”이라고 비꼬는 게 당연했다.
생산성뿐 아니라 그렇게 생긴 이득을 누가 어떻게 가져가느냐도 중요하다. 저자들은 단순히 노동시간 단축만으로는 큰 의미를 가질 수 없고, 여러 사회계약이 함께 정비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2022-05-2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