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 장편 개작 출간… 코로나 시대 인간 존재 묻다
작별인사/김영하 지음/복복서가/308쪽/1만 4000원
살고 있던 세계의 ‘바깥’을 발견하고 별안간 삶이 송두리째 뒤흔들린 한 소년의 여정을 담은 것은 이전 버전과 똑같지만, 그 여정에서 만나는 질문이 달라졌다. 김 작가를 좋아하는 독자들에게는 이전 버전과 지금 버전을 비교해 읽을 수 있는 재미를 선사한다.
먼저 눈에 띄는 변화는 플롯이다. ‘자작나무 숲에 누워 나의 두 눈은 검은 허공을 응시하고 있다. 한 번의 짧은 삶, 두 개의 육신이 있었다. 지금 그 두 번째 육신이 죽음을 앞두고 있다.’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도입부는 기존 작품에서 선형적으로 사건이 벌어진 것과 달리 새 버전이 회상 구조로 바뀌었음을 예고한다. 주인공 ‘철이’가 아빠를 계속해서 ‘그’라고 지칭하는 부분도 이런 플롯의 변화를 통해 가능해진 부분이다.
또 다른 변화는 팬데믹을 거친 영향이 작품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었다는 점이다. 이전 버전이 존재의 깨달음과 성장을 통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과 인간이 아닌 존재들을 가르는 경계는 어디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게 했다면 이번에는 필멸의 존재인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또 어떻게 죽어야 하는가를 묻는다.
특히 작가는 재생 휴머노이드 ‘달마’와 (조금은 다른) 인간 ‘선이’의 치열한 논쟁을 새로 넣으면서 고민했던 지점이 무엇인지를 선명하게 했다. 작품 속 달마는 말한다. “태어나지 않은 존재는 아무것도 아쉬울 게 없습니다. 고통의 근원인 자아가 아예 없으니까요. 그런데 만약 태어나게 되어 고통을 겪으면, 그 고통은 해악입니다. 태어나지 않는 쪽이 분명히 낫습니다.”(148쪽)
이에 선이는 자신의 신념으로 응대한다. “그래요. 고통에는 의미가 없을지도 몰라요. 하지만 세상의 불필요한 고통을 줄이는 건 의미가 있어요. 태어나지 않는 것이 최선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의식이 있는 존재들이 이 우주에 태어날 수밖에 없고, 그들은 살아 있는 동안 고통을 피할 수 없어요. 의식과 충분한 지능을 가진 존재라면 이 세상에 넘쳐나는 불필요한 고통들을 줄일 의무가 있어요. 우주의 원리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더 높은 지성을 갖추려고 애쓰는 것도 그걸 위해서예요.” (152~153쪽)
현재가 소중하다는 것을 아이러니하게 익숙한 것과의 작별을 통해 알게 된다. 소설 ‘작별인사’는 헤어짐을 통해 현재를 바라보는 시선을 다정하게 한다. “가끔 내가 그저 생각하는 기계가 아닐까 의심할 때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순간이면 그렇지 않음을 깨닫고 안도하게 된다. 봄꽃이 피는 것을 보고 벌써 작별을 염려할 때, 다정한 것들이 더이상 오지 않을 날을 떠올릴 때, 내가 기계가 아니라 필멸의 존재임을 자각한다”는 작가의 말처럼 말이다.
2022-05-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