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자살 집중한 신간 ‘가장 외로운 선택’
“미국·영국·일본서 계층 간 불평등 확인”
나날이 심각해지는 청년 자살 문제를 두고 정신건강의학자와 보건학자, 사회복지학자, 사회역학자 등 전문가들이 쓴 긴급 보고서를 엮은 신간 ‘가장 외로운 선택’(북하우스)은 청년 세대에 대한 몰이해와 실업, 저임금, 계급 불평등, 성차별 등으로 얼룩진 한국 사회의 ‘불행’이 청년들을 더욱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고 강조한다.
박건우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원은 ‘코로나 시대, 통계로 보는 청년 자살’을 통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과 영국, 일본 등 고소득 국가에서 정신건강 악화가 공통적으로 확인됐고, 사회경제적 불평등도 심화됐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11월 미국 질병관리본부 산하 연구팀이 2020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45~74세 연령층에선 자살 사망이 감소했지만 25~34세 남성은 5% 포인트, 15~24세 여성은 4% 포인트씩 각각 자살률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 내 성인 40.9%가 불안장애나 우울장애, 코로나19 관련 외상 후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문제나 물질 사용 장애(중독)를 겪었는데 그중 18~24세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자살 충동 비율도 증가했다.
영국과 일본의 통계도 전체적으로 자살률은 줄었지만 청년들의 자살과 정신건강 악화는 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19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추가 분석이 필요하지만 20~30대 여성의 자살이 느는 등 관련 수치들이 “코로나19가 청년들에게 더 가혹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현정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는 ‘여성 청년 자살에 관한 인류학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저임금 비정규직 서비스 분야에서 종사하다가 임금이 삭감되거나 회사에서 퇴출당하고,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증가한 가사와 양육 부담, 비대면 관계 속에서 얻게 된 고립감과 소외, 젠더 폭력 등을 겪으면서 여성 청년들의 우울과 절망이 악화됐다는 점을 여성 청년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빌려 전한다.
전문가들은 정신건강 및 자살 행동 관련 연구를 통해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해 자살 위험 집단과 취약계층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정신건강 복지 등이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