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은 어떻게 슬퍼하는가
바버라 킹 미국 윌리엄메리대 인류학과 명예교수의 ‘동물은 어떻게 슬퍼하는가’는 동물들이 슬픔의 감정과 그것을 만들어 내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어떤 방식으로 표출하는지 고찰한 책이다. 저자에 따르면 어떤 동물들은 동료가 죽으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다. “가족이나 친구가 상아 밀렵꾼에게 살해당하는 것을 목격”한 코끼리들은 “악몽에 시달리며 잠을 설치곤 한다”. 침팬지 역시 “사랑하는 동료의 죽음에 슬퍼한다”. 저자는 익히 알려진 침팬지·코끼리·개 외에도 토끼·돌고래·거북·새들이, 더욱이 종을 초월해 어떻게 감정을 공유하는지 설명한다.
동물들의 슬픔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저자는 “사랑”이라고 단언한다. “동물의 슬픔은 동물의 사랑에 대한 강력한 지표로 볼 수 있다.” 이어지는 저자의 말은 이렇다. “슬픔은 두 동물이 끈끈한 유대를 형성하고, 서로에게 관심을 쏟고, 나아가 상대의 존재가 공기처럼 필수불가결하다는 가슴의 확신에 따라 서로 사랑할 때 피어난다.” 사랑 그리고 상실 이후 슬픔을 표현하는 방식은 제각각이지만 대개의 동물은 체중이 줄어들고 먹기를 거부하거나 먹을 것을 찾지 않는다. 평상시 하지 않던 행동을 하고 무기력에 빠진다. 병에 걸리고 세상을 떠난 동료를 따라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말은 동료가 묻힌 곳에 원형으로 모여 있고, 고양이는 뚜렷한 목적 없이 서성거리거나 울부짖는다. 돌고래는 죽은 새끼를 떠받치고 다니고, 어미 원숭이는 죽은 새끼를 오랫동안 안고 다닌다. 사람의 행동과 다를 바 없는, 슬픔을 이겨 내기 위한 행동들인 셈이다. 한 코끼리 무리는 인간처럼 죽은 동료의 시신에 발로 흙을 덮어 주었다. 진화적으로 뒤에 있는 거북조차 모래사장에서 동반자를 추모하는 듯한 모습이 종종 발견된다. 저자는 “슬픔과 애도에 관한 종(種)을 뛰어넘는 모종의 경향성은 인간과 동물이 공통의 생물학적 근거로 빚어진 존재임을 짐작하게 한다”고 강조한다. 아직까지도 동물의 감정에 대해서는 저평가하는 분위기다. 저자는 “과학은 사랑을 헤아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모든 것을 설명해 줄 수는 없다”면서 동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즉 슬픔을 견뎌 내는 모습을 볼 것을 권한다.
출판도시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2022-03-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