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종할 자유
요한 샤푸토 지음/고선일 옮김
빛소굴/208쪽/1만 5000원
나치 친위대 장군이었던 라인하르트 혼은 매니지먼트 이론가로 변신해 자율로 포장된 억압의 전략을 경제 분야에도 접목한다.
OTFW Berlin·빛소굴 제공
OTFW Berlin·빛소굴 제공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 현대사 교수 요한 샤푸토는 ‘복종할 자유’에서 현대 자본주의의 전유물처럼 보이는 매니지먼트를 들여다보기 위해 나치 독일을 소환한다. 나치 문화사와 현대 정치를 연구해 온 저자는 “나치 독일은 매니지먼트 및 모더니티 개념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흥미로운 전망대”라고 말한다.
그가 만들어 낸 매니지먼트의 핵심은 ‘자유로운 복종’이다. 혼은 독일이 다른 민족을 정복해야 하는 이유, 개인이 공동체에 헌신해야 하는 근거를 만들어 냈다. 그는 “개인은 공동체에 복종하고 공동체의 수족이 될 때 자유를 만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개인은 공동체의 살점이고 뼈이기에, 공동체와 하나가 된다는 사실로 존재의 이유를 획득한다”는 것이다. 이 논리 아래 구성원들은 대규모 전쟁을 치르기 위해 최고의 효율을 발휘해야 했다.
그렇다면 나치 독일같은 전체주의 국가와 현대 기업을 관통하는 매니지먼트 모델은 무엇일까. 저자는 ‘권한 위임을 통한 관리’라고 본다. ‘바트 하르츠부르크’라 불리는 이 방식은 관리직인 중간 간부급 직원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자율성을 준다. 그러나 여기서 자유는 복종할 자유, 즉 지도부가 부과한 목표를 실현하는 자유를 가리킨다. 수행자에게 놓인 유일한 자유는 목표가 아닌 수단을 선택하는 데 있다.
복종할 자유라는 모순적 명령의 결과는 착취다. 샤푸토 교수는 “직원들은 노동에서 소외되고 이는 사회심리학적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비판한다. 신체적·정신적 탈진, 불안장애, 번아웃, 그리고 보어아웃(지루함과 단조로운 업무 탓에 겪는 의욕 상실) 등으로 이어진다. 나치의 패배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독일을 경제 대국으로 만들어 조국의 영광을 찾으려 한 이론가의 생각은 지금도 적용되고 있다. 일하다 사망한 한국의 수많은 노동자들도 지시받은 일을 어떻게든 해내려던 사람들이었다. 그럼에도 사업주는 직접 업무 지시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법망을 빠져나간다.
“탁월한 기계인 우리 인간은 스포츠 센터에서 신체를 강철처럼 튼튼하게 단련해야 하는가. 우리는 싸워야 하고 전사가 돼야 하는가. 우리의 삶을, 사랑을, 감정을 ‘관리’함으로써 경제 전쟁에서 승리라는 성과를 낼 수 있어야 하는가.” 저자의 질문은 우리가 당연시해 온 생각과 태도에 의문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2022-03-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