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외교관, 위기 빠진 배경 서술
철광석·농토 많아 러시아 눈독
동서양 통로… 세력 구도에 영향
러시아와 유럽의 틈바구니 속에 놓인 우크라이나가 이처럼 위기에 빠진 배경을 최근 출간된 ‘유럽 최후의 대국, 우크라이나의 역사’(사진·글항아리)가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주우크라이나 일본대사를 지낸 외교관으로 니혼대 국제관계학부 교수 등을 역임한 저자 구로카와 유지는 루스 카간국을 시작으로 러시아와 뿌리를 같이하는 키예프 공국, 그리고 1991년 독립 이후까지 우크라이나의 통사를 정리했다. 다른 민족에게 지배받고 독립을 반복해 온 복잡한 관계들도 함께 그린다.
12세기 말쯤 이미 인구수가 700~800만명에 달했고 유럽 최대 규모의 철광석 산지이자 세계 흑토지대의 30%를 차지하는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는 주변국의 좋은 먹잇감이었다. 러시아는 물론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 우크라이나에 눈독을 들인 주변국과 문화, 종교, 언어까지 영향을 주고받았다.
15세기만 해도 키예프 루스의 지배를 받는 한 부족 연합체일 뿐이었던 러시아와의 관계는 1654년 페레야슬라프 조약이 가장 결정적인 변곡점이었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러시아는 이 조약으로 우크라이나 동부를 병합해 영토를 늘렸다. 우크라이나 입장은 동맹 중 하나에 보호를 요청했을 뿐인데 결과적으로 병합되고야 말았다는 것이다.
국제우크라이나학회 일본지부를 이끄는 저자는 우크라이나의 잠재력과 가능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언급한다. 유럽에서 러시아 다음으로 넓은 면적과 ‘유럽의 곡창’이 될 수 있는 환경, 뛰어난 과학기술과 문화 등은 여전히 매력적인 요소들이다. 독립 전까지 국가의 틀이 없는, “나라 없는 나라”로 끊임없이 흔들리면서도 고유 역사를 쌓아 온 독특한 민족성도 눈길을 끈다.
서유럽과 러시아, 아시아를 잇는 통로가 되는 지정학적 요건 때문에 대북방전쟁, 나폴레옹전쟁, 크림전쟁, 1·2차 세계대전까지 주요 세계사의 변곡점이 된 전장이 되기도 했지만 저자는 “결국 우크라이나의 향방에 따라 동서 힘의 균형이 달라졌다”고 거듭 강조한다.
2022-02-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