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자 위해 지워진 세계… 사라진 약자를 찾아서

강자 위해 지워진 세계… 사라진 약자를 찾아서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2-02-10 20:08
수정 2022-02-11 0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황모과 지음/문학과지성사/260쪽/1만 4000원

문단 기대주 황모과 작가 신작
성감별용 낙태약에 여성 줄자
평행우주 넘나들며 복원 분투
SF장르에 현실문제 접목시켜
이미지 확대
황모과 작가는 첫 SF 장편소설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에서 여아 성감별에 희생된 여성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가부장제와 약자의 아픔을 조명했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황모과 작가는 첫 SF 장편소설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에서 여아 성감별에 희생된 여성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가부장제와 약자의 아픔을 조명했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1990년에 태어난 신생아의 남녀 성비는 116.5로 역대 최대 불균형을 기록했다. 여아 100명 대비 남아 116.5명이 태어났다는 의미로, ‘백말띠의 해에 태어난 여자는 드세다’는 속설과 남아선호 현상이 결합해 여아 성감별 및 낙태가 성행했음을 보여 준다. 이런 성비 불균형은 30년 뒤 저출산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한국 사회는 뚜렷한 해법 없이 성별 갈라치기와 남녀 갈등에 매몰돼 있다.

2019년 한국과학문학상 대상을 받으며 문단의 기대주로 떠오른 황모과 작가의 SF 장편소설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어제도 오늘도 ‘투명인간’처럼 돼 버린 여성의 자리는 어떻게 회복될 수 있을지를 묻는다.

소설은 엄마의 죽음과 함께 태어난 1990년생 여성 채진리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한때 과학자였으나 제빵사가 돼 빵집을 운영해 온 아빠를 둔 진리는 고등학교 2학년이 된 2007년 3월 등굣길에 무릎이 꺾일 만큼 강한 진동을 느낀다. 교실에 들어서자 같은 반 남학생들은 집단 기억상실에 걸린 듯 여학생들을 처음 본 사람처럼 대한다. 집에 돌아오니 아빠는 어느새 제약회사의 대표이사가 돼 있다. 이 같은 격변 속에서 진리는 과거 자신을 낳다 죽은 엄마도 돌아올 수 있을까 기대를 품어 보기도 하지만, 친구인 1990년생 여학생들은 하나둘씩 사라지고 그들과의 기억마저 희미해진다. 진리는 어느 날 이 현상이 아빠가 개발한 성별 감별 경구용 낙태약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작가는 과거와 미래가 교차하는 ‘평행 우주’를 가로지르며 이전 세계로 돌아가려 애쓰는 진리의 분투기를 생생하게 펼쳐 냈다. 진리가 아빠와 소박하게 살았던 세계, 엄마가 진리를 낳지 않고 살아남았던 세계, 아빠가 갑자기 부자가 된 뒤 친구들을 잃어버린 세계 등 여러 차원을 겪으며 억울하게 사라진 여성들을 복원하고자 했다. 기발한 과학적 상상력은 인간의 과거도 미래도 한 가지 모습으로 고정돼 있지 않다는 점을 암시하는 듯하다. 지금은 좀처럼 볼 수 없는 무선 호출기(삐삐)로 과거에 메시지를 보내는 진리의 모습에선 1990년대의 아련한 향수가 느껴진다.
이미지 확대
무엇보다 작가는 ‘지워진 세계’라는 특이한 소재로 단순히 임신중지가 아닌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가부장제와 여성 혐오의 논리를 고발한다. “대 끊기게 하지 말라”는 진리 할머니의 말씀(126쪽)은 여성을 재생산의 도구로만 여기던 사회의 어두운 과거다. “우린 태어나면서부터 너무 많은 걸 양보해 왔어. 여자애들은 군대도 안 가잖아?”(43쪽)라는 남학우들의 조롱으로 현재 ‘이대남’을 중심으로 한 여혐의 현실도 여실히 보여 준다.

가부장제 때문에 사라진 여성들을 ‘선별 살해’로 여겨 이를 복원하고자 하는 서사는 1990년생 여성뿐 아니라 아들을 낳아야 하는 압박 속에 고통받았던 어머니·할머니 세대에 대한 위로이기도 하다. 넓게는 존재 가치가 낮다고 약자를 차별하고 배제하는 우리 사회에 대한 경고로도 들린다. 작가는 “여아 선별 작업에서 희생된 여성뿐 아니라 노동자나 이주민 등 사회 여러 층위에서 지워지는 사회적 약자의 아픔과 정서를 대변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시간의 벽을 넘어 인간의 존재 가치를 일깨운 이 소설의 마지막 장을 덮으면 되묻게 된다. “나도 그동안 타인의 고통에 얼마나 무감각했을까”라고.

2022-02-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