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으로 두 아이 입양해 기르는 백지선씨
결혼을 하지 않고 2010년과 2013년 두 아이를 입양해 키우고 있는 백지선씨는 두 아이들을 만나고 키워내는 과정에서 느낀 점을 책 ‘비혼이지만 아이를 키웁니다’에 세심하게 담았다.
백지선씨 제공
백지선씨 제공
2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만난 백씨는 “살면서 가장 잘한 일이 아이들을 입양한 것”이라며 웃었다. 20년간 출판사에서 일해 온 그는 2010년 생후 3개월 딸과 2013년 생후 10개월 딸을 차례로 입양하고 키운 과정들을 촘촘히 썼다. 학교에서 손을 번쩍 들고 “저는 입양됐대요”라고 자랑할 만큼 잘 자라준 아이들이 곧 사춘기에 접어들고 언젠가는 엄마와의 만남을 궁금해할 수 있어서다.
백씨가 결혼이 아닌 입양으로 가족을 꾸리기로 한 결심에 그리 거창한 뜻이 있던 건 아니다. 가부장제 가족구조에서 고생한 어머니를 보고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이 있기도 했고, 최후의 모계사회로 알려진 중국 윈난성 모쒀족에 대한 기사를 접하고 막연하게 현대판 모계사회를 꿈꾸기도 했지만 완강한 비혼주의자는 아니었다. 연애와 사랑을 했어도 결혼을 결심할 만한 사람까진 만나지 못했을 뿐이다.
‘비혼이고 아이를 키웁니다’.
또다른우주 제공
또다른우주 제공
백씨는 “모든 사람에게 가족이 필요하고 그래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도 많지만 저는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했다”면서 “특히 아이를 키우며 서로 성장하는 대등한 관계가 되길 원했다”고 말했다. 현실적 이유들로 인해 출산보다 입양에 무게를 실었다. “임신과 출산으로 직장생활을 지속할 수 있을지 불안했다”는 것이다. ‘5~6세 아이를 입양하면 어린이집에 보내고 직장생활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할 정도로 그에게 일과 가정의 양립은 절대적이었다. 입양기관에서 만난 사회복지사로부터 아동과의 원할한 적응을 위해 신생아 입양을 권유받으면서 처음 만난 아이의 나이만 어려졌다.
임신과 출산의 경험만 없을 뿐 아이를 처음 품에 안고 사소한 모든 것들을 조심하며 소중히 가꿔가는 모습은 다른 엄마들의 육아기와 똑 닮았다. 엄마에게 전적으로 의지하고 엄마의 사랑과 보살핌을 지렛대 삼아 용기와 도전을 품는 아이들의 성장기도 마찬가지다. 백씨의 딸들에겐 할머니와 이모, 삼촌 등 가족의 든든한 울타리가 있었다. “결혼을 안 해서 이혼도 안 한다”고 농담하는 백씨의 말에는 부부싸움 같은 갈등을 아이들에게 보여주지 않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키울 수 있었다는 자부심도 있었다.
백지선씨의 두 딸들.
백지선씨 제공
백지선씨 제공
백씨는 특히 자신의 어머니, 형제자매들과 딸들을 함께 키운 백씨는 “가족 형태에 관계없이 사회 전반적으로 육아공동체가 꾸려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부모 가족을 ‘불우 이웃’으로 낙인찍는 단순한 재정 지원보다는 모든 부모들의 양육 부담을 사회화하고 ‘품앗이’하는 게 절실하다는 거다. 백씨는 “아이가 곧 부모의 경쟁력이 된다”며 이 소중한 육아 경험을 더 많은 사람이 큰 부담 없이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바람을 건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