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결정적 연결고리는 ‘바다’ 파고 넘나들듯 역동적 역사 매료 세계사의 촘촘한 항로 탐방 끝엔 해상패권·기후변화 등 현실 마주 깊고 묵직한 성찰의 시간 속으로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바다를 무대로 세계 여러 문명과 각국의 역사를 바라보면 더욱 역동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시간을 마주할 수 있다. 책 속 200여 점의 지도와 사진자료가 바다와 함께한 인류사를 더욱 생생하게 전한다. 명나라 때 해외 원정을 나선 정화 함선(위)과 콜럼버스 함선을 비교한 사진. 정화 함대에는 길이 150여m, 2500t급에 달하는 대형선도 있었던 반면 80여년 뒤 콜럼버스 항해 때 사용한 함선의 규모는 불과 길이 27m, 400t급이었다. 휴머니스트 제공
인류의 역사는 주로 대륙을 중심으로 기술됐다. 수렵과 채집, 농업 등 땅에서 흙을 일구며 문명과 기술을 발전시켰다는 것이 그간 우리의 틀을 채운 일반적인 경로였다. 그러나 지구 표면의 71%나 차지하는 바다가 그저 육지를 무대로 한 역사의 조연에만 그쳤을까.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역사 발전 과정에서 바다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다양한 연구를 이어 온 주경철 서울대 교수가 이번에는 인류사를 통틀어 바다를 주인공으로 두고 역사를 재해석했다. ‘대항해 시대-해상 팽창과 근대 세계의 형성’(2008)을 비롯해 15~18세기에 집중했던 그간 연구를 더욱 넓혀 선사시대부터 우리가 곧 마주할 미래까지 깊이 있게 들여다본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바다를 무대로 세계 여러 문명과 각국의 역사를 바라보면 더욱 역동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시간을 마주할 수 있다. 책 속 200여 점의 지도와 사진자료가 바다와 함께한 인류사를 더욱 생생하게 전한다. 중세 유럽의 베스트셀러, 제바스티안 뮌스터의 ‘우주 형상지’에 실린 1561년판 아메리카 지도. 휴머니스트 제공
조금만 시선을 넓히면 훨씬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역사가 보인다.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가 세계 각 대륙과 대양의 수많은 섬으로 옮겨 갈 수 있었던 것은 바다를 통해서였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아시아로 넘어가 대형 동물들과 네안데르탈인을 멸종시키고 지구의 지배종이 될 수 있었던 인류사의 시작부터 그 무대는 바다였다. 태평양과 인도양은 선사시대와 고대 내내 멀리 떨어진 문명권을 서로 연결해 영향을 주고받게 하고 때로는 방향을 바꿔 서로를 점령하게 하는 토대였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바다를 무대로 세계 여러 문명과 각국의 역사를 바라보면 더욱 역동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시간을 마주할 수 있다. 책 속 200여 점의 지도와 사진자료가 바다와 함께한 인류사를 더욱 생생하게 전한다. 1672년 포르투갈 출신 화가 로레이스 카스트로가 그린 악티움 해전. 노포를 이용해 접전을 벌이는 갤리선이 잘 묘사돼 있다. 바지선에는 전투에서 패하고 달아나는 클레오파트라로 추정되는 여인이 보인다. 휴머니스트 제공
“바다는 접근을 제약하는 검푸른 장벽이 아니라 인간 삶의 역동적 무대였다”는 저자의 설명처럼 책장을 넘길수록 파고를 넘나드는 생동감 넘치는 역사 속으로 빠르게 빠져들게 된다.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문명의 영향을 받은 그리스와 이를 더욱 발전시킨 로마제국이 서구 문명의 모태가 됐다는 건 기존 대륙의 역사로도 익히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중해에 초점을 맞추면 도시국가 로마가 바다를 정복했기 때문에 카르타고(페니키아의 식민시)와의 포에니전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지중해 세계를 제패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지른 비단길(실크로드)을 인도양을 관통하는 해상 실크로드로 넓히면 아시아 문명이 더욱 역동적으로 읽힌다. 말레이반도에서 중국을 넘어 한반도까지 거대한 땅덩어리가 이어진 한쪽과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일본 등 열도가 주변 바다와 어우러진 다른 쪽으로 아시아를 나눠, 두 바다가 어떻게 연결됐는지도 결국 바다로 설명된다. 당 제국(618~907)이 페르시아와 대규모 교역을 하게 되고 인도양 네트워크로 본격 편입될 수 있었던 해상력은 아시아 주요 국가의 근대뿐만 아니라 현대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바다를 무대로 세계 여러 문명과 각국의 역사를 바라보면 더욱 역동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시간을 마주할 수 있다. 책 속 200여 점의 지도와 사진자료가 바다와 함께한 인류사를 더욱 생생하게 전한다. 버려진 비닐봉투를 물고 있는 바다거북이 바다의 미래를 경고한다. 휴머니스트 제공
주 교수의 오랜 연구가 축적된 박진감 넘치는 대항해시대를 지나 제국주의와 식민지 교역, 증기선이 개발되며 전 지구적으로 해양 네트워크가 활발해진 근대, 개항 시기 등 바다를 따라 촘촘하게 세계사를 탐방하고 나면 어느덧 아찔한 현재와 미래를 마주하게 된다. 땅보다 훨씬 풍부한 자원, 물류와 정보의 이동 등 풍요로운 삶을 제공해 주는 희망의 파도 안에는 해군력을 앞세운 강대국들의 전쟁 위협부터 밀수, 해적, 그리고 기후변화와 해양 환경 오염 등 공포도 함께 들어 있다. 인간이 붙들 수 있는 최후의 보루이자 인류를 멸망시키는 시발점도 될 수 있는 바다의 미래를 좌우하는 것은 결국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다. 흥미롭게 따라간 인류의 여정에서 읽어 낸 바다의 크고 묵직한 무게가 깊은 성찰의 시간을 준다.
허백윤 기자
2022-01-2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