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백
박소정 지음
컬처룩/360쪽/2만 4000원
이 과정에서 동북아의 미를 기준으로 아시아 속에서 미의 위계가 생기기도 하고, 피부색에 기반한 차별 논리가 드러나기도 한다. 흼, 혹은 희어짐을 의미하는 ‘미백’이 새로운 유형의 식민적 헤게모니가 될 수 있다는 걸 암시하는 대목이다.
이 책은 미백이라는 일상적인 미의 실천을 포스트식민의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있다. ‘미백의 제국’으로 떠오른 한국의 문화가 아시아 내에서 탈식민적 역량을 내포한 문화 현상으로 대두되고, 동시에 우리 안에서 제국주의적 욕망이 튀어나올 수도 있다는 걸 지적하고 있다.
예전 화장품 소비자에게 미백은 백인이나 일본 여성이 지닌 피부색과 같은 의미였다. 요즘 젊은 세대에겐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속에서 발견하는 자신의 자연스러운 모습일 뿐이다.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스스로를 가꾸는 방식에 눈뜨는 계기가 되는 등 미백은 일상 영역에서 다양한 무게로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그 이면에 블루멘바흐의 ‘퇴화 이론’ 같은, 그러니까 코카서스 인종이 가장 완벽한 인간, 몽고나 에티오피아 인종이 가장 퇴화한 인간이라는 인종 담론이 여전히 꿈틀댄다고 본다.
‘케이컬처’의 해외 팬 일부가 한류 스타, 뷰티 유튜버 등을 ‘화이트 워싱’이라며 비판하고 나서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들은 미백이 한국인 또는 아시아인의 정체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인종적 진정성을 부정하는 현상이라고 여긴다. 예컨대 방탄소년단(BTS)이 ‘러브 유어셀프’라는 제목으로 월드투어를 하면서도 미백 이미지를 고수하는 건 자신이 내세운 슬로건을 스스로 거스르는 행위라는 것이다.
저자는 “미백 문화에는 밝은 피부를 향한 욕망도 있지만 어두운 피부에 대한 거부 또한 존재한다”며 “한국 영토 바깥을 향하는 미백의 제국성 외에 외국인과 혼혈인의 문제”에도 관심 갖기를 권했다.
2022-01-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