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쳐보고 AI에게 맡겨봐도 똑같네, 한 치 앞 모를 미래

점쳐보고 AI에게 맡겨봐도 똑같네, 한 치 앞 모를 미래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1-12-23 17:18
수정 2021-12-24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측의 역사
마틴 반 크레벨드 지음/김하현 옮김/현암사/364쪽/필로우/352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인류는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점성술부터 인공지능(AI)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미래를 예측해 왔다. 6세기 이스라엘 북부 베이트알파 예배당에 있는 별자리 모자이크로 십이궁도가 그려져 있다.
인류는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점성술부터 인공지능(AI)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미래를 예측해 왔다. 6세기 이스라엘 북부 베이트알파 예배당에 있는 별자리 모자이크로 십이궁도가 그려져 있다.
 해마다 이맘때면 사회 각 분야를 막론하고 내년 전망을 내놓는 책들이 쏟아진다. 코로나19 이후 출판계에는 미래를 예측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서적들이 부쩍 늘었다. 팬데믹으로 앞이 안 보이는 ‘시계제로’의 불확실성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심리가 반영된 결과다.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인 마틴 반 크레벨드 교수는 저서 ‘예측의 역사’에서 “미래를 알고 싶어 하는 것은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한 인간의 본성”이라고 말한다. 앞날을 알 수 있다면 경제적, 사회적으로 성공해 부와 성공을 거머쥘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예로부터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왔다. 그것은 개인이나 집단 혹은 국가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기도 했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의 스승이자 전쟁사 및 전략 전문가이기도 한 크레벨드 교수는 이 책에서 점성술부터 인공지능(AI)까지 인간이 어떻게 미래를 예측해 왔고, 인류 역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한다.

 저자에 따르면 고대의 인간은 현실 세계를 떠남으로써 미래를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샤먼이나 사제, 무녀들은 일상적 환경에서 벗어나 ‘변성의식 상태’에 들어간다. 이 상태가 되면 주위에 대한 인식 능력은 떨어지고, 그 외의 것들을 인식하는 능력이 강해진다. 고대 그리스 신전의 여성 예언자인 피티아는 바위 틈에서 나오는 가스를 마시고 일종의 반수면 상태에서 신의 음성으로 말했고, 신전 소속 신관들은 이를 해석해 신탁을 전했다.
이미지 확대
 퉁구스어로 샤먼은 ‘흥분하고, 동요하고, 고양된 사람’이라는 뜻으로 샤먼의 역할은 사회마다 매우 다양했다. 저자는 “샤머니즘이 없는 사회는 없으며, 샤머니즘이 어쩌면 지구 최초의 정부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이보다 앞선 고대 메소포타미아 사제들은 심령술로 미래를 예측했다. 죽어가는 사람과 죽은 사람은 더 많은 것을 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심령술은 사자(死者)와의 대화를 시도하는 기행으로 종종 위험한 일이 벌어졌다. 하지만 14세기 유럽에서는 귀족들이 온갖 종류의 주술사와 심령술사를 만나려고 애쓰는 통에 교황들이 대를 이어 대처하기도 했다.

 또 다른 미래 예측의 발명품인 점성술 역시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 이집트, 중국, 인도, 유럽으로 전파됐다. 하지만 저자는 “점성술은 (별에 대한) 정확한 현상 관찰을 기반으로 미래를 예언한다는 점에서 영매(靈媒)나 샤먼과는 확연히 다르다”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1949년 영국에서는 최초의 아날로그식 컴퓨터 ‘모니악’을 통해서 돈의 흐름과 건강, 교육 등을 예측했다.
1949년 영국에서는 최초의 아날로그식 컴퓨터 ‘모니악’을 통해서 돈의 흐름과 건강, 교육 등을 예측했다.
 근대 이후 과학이 중요한 도구가 되면서 예측 기법들도 발전했다. 19세기 초 역사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헤겔의 변증법이 떠올랐고,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마르크스가 당대 자본주의의 모순에서 비롯된 대격변의 미래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무어의 법칙처럼 과거의 자료에 근거해 미래를 예측하는 외삽법도 크게 발전했다. 현대의 예측 도구 가운데 가장 강력한 것은 통계 모델과 알고리즘이다. 최근에는 AI에 기반한 빅데이터까지 동원돼 매우 복잡한 상황까지 확률적으로 예측한다.

 그렇다면 현대인들은 과거보다 더 예측을 잘하게 됐을까. 이에 대해 저자는 “분명 확률적 예측의 성공률은 높아졌지만,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실성 원리와 카오스 이론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한다. 실제로 9·11 테러나 2008년 금융위기,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처럼 통계적으로는 예측 불가능한 ‘블랙스완‘이 등장했고, 현재 전 세계는 코로나19라는 대형 ‘블랙스완’에 직면하고 있다.

 그렇다면 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저자는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만들어 낸 방법들이 서로서로, 크게는 문명과 관계 맺는 방식을 살펴보는 것은 인간성의 본질을 파고드는 것과 같다”면서 “다만 우리가 미래의 모든 것을 남김없이 안다면 미지의 것에서 오는 신비로움, 예상치 못한 상황과 맞붙는 도전 의식은 물론 상상력과 희망도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예측을 하는 것은 인간 고유의 특성이지만, 한편으로 예측 불가능성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 주는 특징이라고 저자는 전한다.
2021-12-2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