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 분류도 인간의 발명품… 자연에 가치 없는 존재는 없다

동식물 분류도 인간의 발명품… 자연에 가치 없는 존재는 없다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1-12-16 20:34
수정 2021-12-17 02: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룰루 밀러 지음/정지인 옮김/곰출판/300쪽/1만 7000원

이미지 확대
●자연 거스르는 인간의 과욕

혼돈이 지배하는 세상 속에서 자연계에 질서를 부여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계속돼 왔다. 미국의 생물학자(분류학자) 데이비드 스타 조던(1851~1931)도 그중 한 명이었다. 어린 시절 밤하늘을 자주 바라봤던 조던은 별들에 질서를 부여한 ‘별들의 지도’를 완성했고 자신의 이름 가운데 ‘스타’를 집어 넣었다.

하지만 때로 인간의 과욕은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방송계 퓰리처상으로 불리는 피버디상 수상자인 과학 전문기자 룰루 밀러가 쓴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집착에 가까울 만큼 자연계에 질서를 부여했던 과학자 조던의 삶의 궤적을 통해 우리가 믿고 있는 삶의 질서에 대한 의문을 던진다.

다윈의 진화론과 그에 대한 반론이 팽팽했던 19세기 말 과학계. 스탠퍼드대학 총장을 역임한 조던은 모든 생명체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그 관계를 밝혀내는 데 평생을 바쳤다. 어린 시절 밤하늘에 질서를 부여했던 그는 물고기에 질서를 부여하기 시작했다. 지진으로 그가 수집한 표본들이 없어지고, 자식과 아내가 죽는 등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그는 분류 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그 결과 조던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그의 생존 당시 밝혀졌던 어류 1만 2000~3000종 가운데 2500종 이상을 그와 그의 제자들이 발견한 것이다. 이 같은 오랜 분류 작업을 통해 그는 “강자가 더 오래 살아남고 더 우월해진다”는 자연 질서를 확신했다. 그는 “멍게나 따개비처럼 한자리에 고착돼 살아가는 생물들이 한때는 물고기나 게처럼 더 높은 차원의 형태를 갖고 있었으나, 기생으로 자원을 획득해 온 결과 더 게으르고 더 약하고 더 단순하며 더 지능이 떨어지는 생명체로 퇴화했다”고 믿었다.

하지만 이런 잘못된 믿음은 그를 과격한 우생학자의 길로 인도했다. 우생학을 맹신했던 조던은 빈곤과 타락, 게으름 등 인간의 특징들을 생물학적 유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 빈민과 백치, 도덕적 타락자 등을 적격자와 반대되는 ‘부적합자’라는 범주에 몰아넣었다. 나아가 흑인은 백인에 비해 열등한 존재라고 믿은 그는 “인류의 쇠퇴를 막기 위해 백치들은 모두 자기 핏줄의 마지막 세대가 돼야 한다”는 억지 주장까지 쏟아냈다.

●우생학 맹신 美 생물학자의 ‘어류 분류법’… 수많은 미묘한 차이 무시

우생학과 연관된 조던의 어류 분류법은 결국 후대에 잘못된 것으로 판명됐다. 1980년대 분류학자들은 “조류는 존재하고 포유류도 존재하지만, 꼭 찍어 어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 수많은 미묘한 차이들을 어류라는 하나의 단어 아래 몰아넣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어 “‘어류’라는 말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경멸적인 단어이며, 우리가 그 복잡성을 감추고 우리가 실제 그들보다 훨씬 더 우월하다고 느끼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미국 에모리대학의 유명한 영장류학자인 프란스 드발 교수의 말을 인용해 인간을 사다리 계층구조의 꼭대기에 두는 작업을 반복해 왔다고 지적한다. 드발 교수는 “우리의 상상 속 사다리에서 정상의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와 다른 동물들 사이의 유사성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한다”고 말했다.

저자는 회고록, 동화, 철학 에세이, 시 등 50여권의 자료를 통해 조던을 분석했다. 책에 수록된 정교한 삽화는 19세기 과학 텍스트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죽는 날까지 열광적인 우생학자로 남은 조던에 대해 저자는 “자기 확신이 너무나 강한 나머지 이성과 도덕을 무시하고 자기 방식이 지닌 오류를 인정하지 않는 악당”이라고 일갈했다.

●인간 편의로 그어 놓은 선, 그 너머 복잡성 바라봐야

결론적으로 저자는 우리가 편리하게 자연에 그어놓은 선 너머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민들레 법칙‘으로 세상을 바라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민들레는 어떤 사람에겐 잡초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약초 채집가에게는 약재이고, 화가에게는 염료이며, 아이에게는 소원을 빌게 해 주는 존재다. 우생학 관점에서 한 생명이 중요해 보이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누군가에게는 대체하지 못할 우주와도 같다. 그래서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식으로 이 지구에, 이 사회에, 서로에게 중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2021-12-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