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에서 알았다, 삶과 죽음은 다르지 않다는 걸

극한에서 알았다, 삶과 죽음은 다르지 않다는 걸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11-04 17:22
수정 2021-11-05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해에서/우다영 지음/현대문학/168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앞길이 창창한 청년이 갑작스레 죽게 됐을 때 나머지 가족들이 느끼는 상실감을 치유하려면 얼마나 시간이 걸릴까. 반대로 죽을 뻔한 위기 속에서 처절하게 살아남은 사람은 삶의 의미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우다영 작가의 신작 소설 ‘북해에서’는 이처럼 삶과 죽음을 놓고 사투를 벌이는 인물들의 심리를 미지의 가상공간 ‘북해’를 배경으로 한 액자 소설 형식으로 생생히 그렸다.

북해에서 유년기를 보낸 주인공 ‘나선’의 아버지는 직업 군인이며 장교인 후배들을 자주 집으로 초대한다. 사고로 아들을 잃게 된 슬픔을 잊고 사윗감을 고르기 위해서다. 그러던 어느 날 식사를 함께하던 중위 한 명이 자신의 할머니 ‘오경’이 열다섯 살 때 북해에서 겪은 전쟁에서 살아남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불바다가 된 북해에서 오경은 자신을 뒤쫓는 적국 군인과 수로 속 돌무더기에 갇히고 만다. 작은 구멍 하나로 연결된 다른 공간에 고립된 오경과 군인은 소량의 식량과 대화를 나누며 친해지지만, 군인은 파상풍이 악화해 죽게 된다.

주목할 만한 것은 고립 상태에서의 ‘나눔’이 둘의 관계를 적대 관계에서 생존의 동지로 탈바꿈시켰다는 점이다. 할머니가 군인 대신 생존한 덕에 이 세상에 태어날 수 있었던 중위의 삶의 궤적은 오빠를 대신해 줄 사람과의 혼인을 은근히 강요받은 나선의 삶과도 연결된다. 나선은 오빠의 죽음으로 유년의 기억을 묻어 둬야 했지만, 북해는 삶의 기원과 단절을 동시에 의미하는 인생의 ‘영점’에 닿아 있는 공간으로 ‘세상 모든 것은 결국 변한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작가는 이를 통해 삶은 죽음만큼이나 기이하고 묘연한 것이라 삶을 들여다보는 것은 죽음을 들여다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암시한다.

주어진 삶을 피하지 않고 묵묵히 나아가는 인물들의 모습과 극한에 몰린 삶에서 어쩔 수 없이 대면하는 죽음을 생생히 묘사한 작가의 필체에는 인간에 대한 애정이 스며들어 있다. 결국 세상은 아직 살 만한 곳이라는 것을 말하는 듯하다.
2021-11-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