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은 “쓸 줄 알고 읽을 줄 알고, 수영을 할 줄 알아야 비로소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의 말대로라면 저는 아직 지식인이 되질 못했습니다. 구명조끼나 튜브가 없으면 물에 들어가질 못하거든요. 유유히 물살을 가르며 헤엄치는 이들을 보면 그저 부러울 따름입니다. 사랑도 그렇습니다만, 수영을 글로 배우긴 어렵습니다. 그러나 수영의 역사, 수영에 얽힌 이야기를 읽어 보는 일은 재밌을 겁니다.
‘헤엄치는 인류’(미래의창)는 수영하는 인류의 지난 1만년 동안 역사를 훑어봅니다. 수영의 역사뿐만 아니라 수영 영법, 수영장, 수영과 관련한 각종 기록, 수영 과학, 수영복에 대해 알려 줍니다. 수천 년 동안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았던 사하라 사막 오지에서 발견된 수영하는 이를 그린 벽화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제국에서 수영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당시 사람들에게 물이 얼마나 중요한 문화적 요소였는지 소개합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왜 수영이 잊혔는지도 흥미롭습니다. 르네상스 시대를 지나 근대로 접어들면서 수영의 암흑기를 벗어나기 시작한 유럽에서 수영이 어떤 과정을 통해 부활했는지도 눈길을 끕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그렇다면 우리는 왜 수영을 하는 걸까. ‘수영의 이유’(김영사) 저자인 보니 추이는 이 질문부터 던집니다. 책은 수영하는 이유를 크게 생존, 건강, 공동체, 경쟁, 몰입 등 다섯 가지로 나눠 탐구합니다. 각각의 이유에 대해 경험을 나눠 줄 사람을 직접 찾아가 이야기를 풉니다. 국적·성별·계급·빈부와 상관없이 모두 함께 수영을 배우는 바그다드 수영클럽, 차가운 바다에서 장장 6시간을 헤엄친 끝에 살아남아 아이슬란드의 영웅이 된 항해사, 100분의1초 차이로 승부가 갈리는 올림픽에 출전한 수영선수 등의 이야기가 흥미롭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저자가 이들과 직접 수영을 함께 해 봅니다. 단순한 설명에 그치지 않고 저자의 통찰력이 스며들어 글이 생생합니다. 두 권의 책을 읽으니 왠지 저도 힘이 납니다. 내년 버킷리스트에 또다시 ‘수영 배우기’를 살포시 추가해 봅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9-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