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를 많이 만들어라, 지구의 지배자 될지니…

친구를 많이 만들어라, 지구의 지배자 될지니…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7-29 17:20
수정 2021-07-30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브라이언 헤어·버네사 우즈 지음/이민아 옮김
디플롯/396쪽/2만 2000원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눈의 공막이 유일하게 하얗다. 그래서 시선을 조금만 돌려도 무엇을 보는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의 눈이 협력적 의사소통을 위해 설계됐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사진).  디플롯 제공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눈의 공막이 유일하게 하얗다. 그래서 시선을 조금만 돌려도 무엇을 보는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의 눈이 협력적 의사소통을 위해 설계됐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사진).
디플롯 제공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1859년 초판에는 ‘적자생존’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다. 5판에 처음 등장하는데, ‘국소적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을 뜻한다. 다윈 이후 생물학자들은 이를 멋대로 해석해 자연을 피도 눈물도 없는 삭막한 곳으로 묘사했고, 우리는 마치 강한 종이 다른 종을 제압하고 살아남는 게 당연하다고 여긴다.
이미지 확대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눈의 공막이 유일하게 하얗다. 그래서 시선을 조금만 돌려도 무엇을 보는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의 눈이 협력적 의사소통을 위해 설계됐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  디플롯 제공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눈의 공막이 유일하게 하얗다. 그래서 시선을 조금만 돌려도 무엇을 보는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의 눈이 협력적 의사소통을 위해 설계됐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
디플롯 제공
개, 늑대, 보노보, 침팬지, 사람을 포함해 10여종 동물을 연구하는 브라이언 헤어 듀크대 진화인류학 교수와 버네사 우즈 연구원은 ‘적자’의 조건으로 신체적인 강함보다 다정함, 나와 다른 상대방과 협력하고 소통하는 친화력을 내세운다. 쉽게 말해 인류가 더 많은 적을 정복해서가 아니라, 더 많은 친구를 만들었기 때문에 지구의 지배자가 됐다는 이야기다.

멸종 위기에 처한 늑대와 달리 인간과 함께 번성하고 있는 개가 대표적인 예다. 저자들은 한쪽에만 먹이를 숨긴 컵 두 개를 놓고 손짓으로 먹이가 든 컵을 가리킨 뒤 동물의 반응을 살폈다. 동물이 인간 손짓의 의미를 이해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개보다 지능이 높은 침팬지는 이상하게도 이 실험에서 계속 실패했다. 그러나 개는 사람이 가리키는 곳으로 빠르게 달려가 먹이를 찾아냈다.

당연히 이런 손짓과 몸짓의 뜻을 가장 잘 이해하는 종이 바로 인간이다. 특히, 아기는 걸음마를 떼기 전부터 부모와 눈을 마주치고 손짓과 몸짓의 의도를 파악한다. 타인과 마음으로 소통함으로써, 우리 종은 감정반응을 조절하고 자기통제력을 갖추며 생존에 유리하게 진화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인류의 진화 과정도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10만년 전 호모에렉투스는 유능한 탐험가이자 전사였고, 7만 5000년 전의 네안데르탈인도 기술 좋은 사냥꾼이었다. 그러나 결국 살아남은 종은 호모사피엔스였다. 호모에렉투스와 네안데르탈인보다 신체 능력과 지능이 뒤처졌지만, 협력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극대화해 최후까지 생존했다.

이런 친절함은 반대로 잔인성과 연결돼 있다고 지적한다. 협력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남을 해하는 일도 같은 뇌 부위에서 판단을 내린다. 우리 편이 아니라 남의 편이 되어 버리면, 무리의 생존을 위해 타인을 배척하는 강도 역시 심해진다는 것이다. 다정함, 협력,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우리 종 고유의 신경 메커니즘이 닫힐 때, 우리는 잔인한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 전쟁이나 각종 테러, 그리고 인종에 대한 혐오 등이 이런 사례다.

저자들은 그래서 인간이 극대화한 강점인 다정함을 어떻게 늘려 나갈 수 있을지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들이 책을 쓰던 중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됐고, 뒷부분 내용도 이에 따라 상당수 바뀌고 추가됐다. 인간의 진화를 설명하는 자연과학 서적에 그치지 않고 사회과학과 인문까지 두루 짚어 낸 책이 된 이유다.
이미지 확대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눈의 공막이 유일하게 하얗다. 그래서 시선을 조금만 돌려도 무엇을 보는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의 눈이 협력적 의사소통을 위해 설계됐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 브라이언 헤어(오른쪽) 듀크대 진화인류학 교수와 버네사 우즈 연구원은 인간의 가장 큰 장점이 바로 이런 협력적 의사소통이라고 주장한다. 디플롯 제공
인간은 다른 영장류와 달리 눈의 공막이 유일하게 하얗다. 그래서 시선을 조금만 돌려도 무엇을 보는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의 눈이 협력적 의사소통을 위해 설계됐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 브라이언 헤어(오른쪽) 듀크대 진화인류학 교수와 버네사 우즈 연구원은 인간의 가장 큰 장점이 바로 이런 협력적 의사소통이라고 주장한다.
디플롯 제공
저자들은 말미에 “타인을 비인간화하는 지도자는 외면하고 타인에게도 인간애를 실천하자는 지도자에게는 힘을 실어 주자”고 제안한다.

대선 바람과 함께 정치권에서 이전투구 진흙탕 싸움이 치열하다. 상대방을 깎아내리고 헐뜯으며 자신을 높이려는 정치인들은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까. 누구보다 한국의 정치인들이 우선 읽어 봤으면 좋겠다.

2021-07-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