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無罪, 한자 타자기의 발달사/토머스 멀레이니 지음/전주범 옮김/한울/512쪽/4만 9000원
1947년 8월 린위탕(뒤)이 자신의 둘째 딸 린타이이와 함께 밍콰이 타자기를 테스트하고 있다. ‘한자 입력’의 문을 연 타자기였지만, 당시엔 처참한 실패작으로 끝났다.
한울 제공
한울 제공
중국어는 어떨까. 한자는 알파벳 형태가 아니다. 상형문자에 회의문자 등 형태가 그야말로 천변만화다. ‘漢字無罪(한자무죄), 한자 타자기의 발달사’는 1840년대 전신부터 1950년대 컴퓨팅의 등장까지, 알파벳 중심의 기술 발달 속에서 한 세기 이상 ‘언어적 이단아’로 취급받았던 한자가 ‘자판’ 속으로 규격화, 보편화한 과정을 들여다본다. ‘한자 폐기론’이 운위될 만큼 불가능이라 여겨졌던 한자 자판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입력 시스템으로 진화한 역사를 고스란히 담았다. 저자는 한발 더 나아가 서구 중심의 ‘알파벳 세계주의’와 이에 저항한 한자의 분투 역사까지 짚는다.
1900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에 실린 ‘한자 타자기’ 만평. 타자수 여러 명이 나란히 앉아야 글자가 나오는 모습이다. 당시 한자 타자기에 대한 미국인들의 조롱을 담은 수많은 만평 중 하나다.
한울 제공
한울 제공
그가 발명한 한자 타자기는 밍콰이(明快)다. 이 타자기는 서양 타자기에서 중요시한 즉응성, 그러니까 키를 누르면 글자가 종이에 찍히는 과정이 결여돼 있었다. 타자를 해도 글자는 보이지 않았고, 2단계 키를 눌러야 비로소 인쇄됐다. 속기사들이 쓰는 입력기와 비슷했다. 저자가 “컴퓨터 시대의 중국은 속기사의 나라”라고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속기사는 입력 속도가 빠르다. ‘타자수’와는 개념이 다소 다른데, 요체는 ‘입력’과 동시에 해당 자판에 대한 ‘번역’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저자가 ‘속도’와 함께 주목한 건 ‘혁신’이다. 저자는 이를 음악분야의 MIDI(미디·전자 악기와 컴퓨터 연결 장치나 프로그램)에 비유해 설명한다. MIDI는 한 가지 기술 형식, 예컨대 기타 연주 기술로 피아노, 드럼, 목관악기 등까지 연주할 수 있게 돕는다. 한자 입력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혁신을 이끌고 있다는 것이다.
한자 입력은 날이 갈수록 똑똑해진다. 자동완성이나 ‘클라우드 입력’으로 알려진 와이파이 입력틀의 발전 양상과 보폭이 같다. 클라우드 입력에선 입력 방식 편집기가 네트워크 내 다른 곳에서 중국어 컴퓨터 사용자가 입력한 것과 쿼티 입력을 비교한 뒤 ‘스마트한 제안’을 끊임없이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자판 입력과 동시에 제3자의 클라우드 서버가 가로채 간 다음, 순식간에 한자 제안으로 변환돼 나오는 식이다.
책은 ‘중국어 입력’이 상징하는 중국 정보 기술의 역사를 다루게 될 두 권의 책 중 첫 번째다. 두 번째는 현재의 중국 컴퓨팅 기술과 새 매체들을 다룬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6-1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