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파 죽는 것보다 GMO 콩 먹고 살아가는 게 낫다”?
빌 게이츠는 왜 아프리카에 갔을까/리오넬 아스트뤽 지음/배영란 옮김/소소의책/260쪽/1만 6000원빌 게이츠(왼쪽 두 번째)와 그의 아내 멀린다 게이츠(오른쪽)가 아프리카의 한 농가를 방문해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
빌&멀린다게이츠재단 제공
빌&멀린다게이츠재단 제공
프랑스 생태전문 기자 리오넬 아스트뤽은 빌 게이츠와 그의 아내 멀린다 게이츠가 2000년 세운 ‘빌&멀린다게이츠재단’ 투자처와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재단의 여러 위선적인 수법을 들춰낸다. 재단은 기부금으로 투자 펀드를 만들고, 이 돈을 기업에 지원한 뒤 배당금을 받으며 더 많은 돈을 거둬들인다. 자선 재단이지만, 수익과 영리성 기업 활동을 장려한다. 특히 2014년 가장 많은 118억 달러(약 13조 3270억원)를 투자받은 기업은 미국 재벌 기업인 버크셔 해서웨이였다. 부부와 함께 재단 이사 역할을 하는 워런 버핏의 회사다.
재단이 역점을 기울이는 분야는 보건과 농업 분야다. “아프리카를 비롯한 나라의 영농업자에게 지속 가능한 생산방식을 가르친다”고 밝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상한 부분이 발견된다. 예컨대 2010년 재단에서 800만 달러를 지원받은 미국의 대형기업 카길이 이런 사례다. 이 기업은 모잠비크와 잠비아의 7만여개 농가에 현대적인 농업기술을 보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실상은 제초제와 살충제를 사용하고 화학비료에 적합한 품종을 선별하는 기술이었다.
저자는 이런 방식이 앞서 미국 최고 부자였던 존 데이비슨 록펠러가 재단을 앞세워 활동한 방식과 흡사하다면서 “소수 대부호가 어마어마한 권력을 쥐고 있는 ‘자선 자본주의’ 관행 자체를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무엇보다 초국적 권력을 가진 재단의 활동은 그 어떤 민주적 통제도 받지 않는다는 점, 막대한 자금으로 학자들과 비정부기구(NGO), 언론의 입을 간접적으로 막고 있다는 점도 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인다. 자선 행위가 무조건 선이라는 습관적 인식에서 한 번쯤 벗어나, 게이츠의 선행에 가려진 문제가 있을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자고 제안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6-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