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크라시/에바 일루즈·에드가르 카바나스 지음/이세진 옮김/청미/292쪽/1만 6500원
신간 ‘해피크라시’는 행복을 강요하는 ‘행복 산업’이 어떻게 우리 삶에 결착했는지 설명하고, 이런 산업의 선두에 선 행복 전도사들에게 우리가 돈만 갖다 바치는 신세라고 꼬집는다. 이 과정에서 당신이 얻은 것은 행복에 대한 강박관념뿐이라고 비판한다.
저자들은 행복의 개념이 우리 사회에 어떻게 스며들었는지 추적한다. 고대부터 인간의 행복을 정의하고 이를 추구하려는 많은 이론이 있었지만, 최근 행복의 개념은 1950년대 신자유주의를 기반으로 한 인본주의심리학과 적응심리학에서 싹을 틔웠다. 1980년대 자존감 운동을 거쳐 1990년대 말 미국에서 가장 큰 학회로 꼽히는 심리학회(APA)에서 비로소 과실을 맺었다. 긍정심리학의 하위 분류로 행복학이 탄생하고, 기업이 뒷돈을 내면서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그들이 내세우는 행복을 추구한 대표적인 인물은 영화 ‘행복을 찾아서’(2006)의 바탕이 된 크리스토퍼 가드너다. 직장에서 해고를 당했지만, 온갖 시련 속에서 긍정적인 자세를 잃지 않고 주식중개인으로 당당히 성공한다.
행복 산업은 부와 가난, 성공과 실패, 건강과 질병이 모두 개인의 책임이라는 기반에서 작동한다. 개인주의를 강조하면서 사회구조적 문제를 눈감게 하고, 문제의 원인을 개인의 결함으로 돌린다. 이런 배경 뒤에는 노동자를 부리는 기업들이 있었다. 노동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와 불확실성은 정부와 기업의 책임이 크지만, 노동자의 잘못이 돼 버린다. 영화 ‘인 디 에어’(2009)에서 해고를 통지하는 일을 하는 주인공 라이언 빙엄이 그 모델이다. 해고를 당한 노동자에게 사회나 회사의 부당함을 설명하는 대신 “당신이 지금까지 하고 싶었던 일을 할 기회가 찾아왔다. 가서 행복을 찾으라”고 설득하는 식이다.
행복에 대한 강박관념에 여전히 사로잡힌 독자라면 “그래서 어떻게 행복을 찾으라는 건데?”라고 질문할 법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저자들은 딱 여기까지만 안내한다. 행복과 행복 산업에 대해 우선 냉철하게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세상을 좀더 비판적으로 보는 일이 첫걸음이고, 자신만의 행복을 찾는 건 당신의 몫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6-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