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덕산 딱새 죽이기/김주영 지음/문학동네/236쪽/1만 4500원
장손 무위도식… ‘사기꾼’ 사촌은 고향 개발카페·모텔 난립 등 부동산 열풍도 담아내
거침없는 필력으로 해학의 즐거움 선사
작가 “일확천금 풍조·상호 불신 사회 고발”
서울신문에 연재된 대하소설 ‘객주’로 낙양의 지가를 올린 김주영(82) 작가가 4년 만에 내놓은 장편 ‘광덕산 딱새 죽이기’는 이처럼 전통을 지키며 살던 마을에 자본의 논리가 엄습하며 벌어진 갈등과 허위의식으로 점철된 세태를 다뤘다. 이를 통해 인간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김주영 작가
문학동네 제공
문학동네 제공
소설은 전통을 지키며 자연과 함께 삶을 일궈 나가는 광덕산 옷갓마을에서 양반 행세를 해온 관씨 집안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관씨 문중의 장손 관대규는 번영회 회장이지만 세상 물정 모르고 선대의 재산으로 무위도식하는 인물이다. 반면 그의 사촌 동생 관복길은 젊은 시절 서울로 나가 산전수전을 겪은 사기꾼이다. 대규는 예기치 못한 일로 복길에게 약점을 잡혀 자신이 가진 토지의 권리를 복길에게 넘기고, 실세가 된 복길의 뜻대로 마을에 개발 광풍이 몰아친다.
작가는 전통과 현대로 대비되는 두 사람의 삶을 통해 자본의 논리에 굴복할 수밖에 없는 세태를 생생하게 그려 낸다. 도시와 시골 마을을 오가며 벌어지는 이야기에는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 풍광 좋은 곳에 우후죽순처럼 생기는 카페, 모텔 건설 열기 등 부동산 열풍도 담아 냈다.
각자의 방식으로 시대를 받아들이며 갈등하는 두 사람은 우리 모두의 초상일 수 있다. 순박해 보이는 대규도 결국은 허세와 거짓 삶을 추구하기는 마찬가지다. 광덕산에서 태조대왕 영정을 모신 영당을 지키며 양반 행세를 하지만, 영정이 가짜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기득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이를 감추려 한다. “정치가 제 역할을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사회 전체가 허위에 현혹돼 살고 있지는 않을까요.” 작가가 반문했다.
“내 머릿속은 몇 날 며칠을 씻고 닦아도 지워지지 않을 더럽고 추잡한 기억들로 가득 차 있어요.”(101쪽) 희망에 대한 질문에 답한 윤락녀의 절규는 자본의 논리에 내몰려 막연한 희망도 찾을 수 없는 이들의 삶을 대변한다. “돈이 하는 일이 뭔 줄 알아? 사람 간의 정의를 망치고 구기는 일밖에 못 해”(200쪽)라는 노인의 일갈에선 개발이 안겨 준 일확천금의 꿈으로 갈가리 분열된 사회가 엿보인다.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끌어들이는 매력은 자유분방하고 거침없는 필력에 있다. 방언과 입말이 살아 있는 재치 넘치는 대사들은 해학의 즐거움이 무엇인지를 느끼게 해준다. 올해 등단 50주년을 맞은 작가의 내공이 경이롭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5-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