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뒤덮은 ‘자본의 논리’ 인간다운 삶의 길을 묻다

농촌 뒤덮은 ‘자본의 논리’ 인간다운 삶의 길을 묻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05-13 17:34
수정 2021-05-14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덕산 딱새 죽이기/김주영 지음/문학동네/236쪽/1만 4500원

장손 무위도식… ‘사기꾼’ 사촌은 고향 개발
카페·모텔 난립 등 부동산 열풍도 담아내
거침없는 필력으로 해학의 즐거움 선사
작가 “일확천금 풍조·상호 불신 사회 고발”
이미지 확대
고즈넉한 마을은 예로부터 뻐꾸기 울음소리로 유명했다. 하지만 다리를 새로 지은 이후 마을에 방문객들이 몰려들면서 뻐꾸기 소리는 뚝 끊어졌다. 방문객들이 뻐꾸기가 어디 갔느냐고 항의하자, 보름쯤 뒤엔 난데없이 숲속에서 뻐꾸기가 다시 힘차게 울기 시작했다. 어느 누구도 녹음기에서 나오는 소리라는 것은 알아채지 못했다.

서울신문에 연재된 대하소설 ‘객주’로 낙양의 지가를 올린 김주영(82) 작가가 4년 만에 내놓은 장편 ‘광덕산 딱새 죽이기’는 이처럼 전통을 지키며 살던 마을에 자본의 논리가 엄습하며 벌어진 갈등과 허위의식으로 점철된 세태를 다뤘다. 이를 통해 인간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미지 확대
김주영 작가 문학동네 제공
김주영 작가
문학동네 제공
13일 전화로 만난 작가는 “부동산 등으로 일확천금을 바라는 풍조와 상호 불신이 만연한 농촌 사회의 현실을 풍자적으로 고발하고 싶었다”며 “뻐꾸기 울음소리는 우리 사회에 대한 경고음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했다. 제목을 ‘딱새 죽이기’라 정한 것도 뻐꾸기가 딱새 둥지에 알을 낳고 딱새 어미는 뻐꾸기 알을 품지만, 알에서 깨어난 뻐꾸기는 새끼 딱새들을 몰아내는 역설적 상황에서 따온 것이라 했다.

소설은 전통을 지키며 자연과 함께 삶을 일궈 나가는 광덕산 옷갓마을에서 양반 행세를 해온 관씨 집안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관씨 문중의 장손 관대규는 번영회 회장이지만 세상 물정 모르고 선대의 재산으로 무위도식하는 인물이다. 반면 그의 사촌 동생 관복길은 젊은 시절 서울로 나가 산전수전을 겪은 사기꾼이다. 대규는 예기치 못한 일로 복길에게 약점을 잡혀 자신이 가진 토지의 권리를 복길에게 넘기고, 실세가 된 복길의 뜻대로 마을에 개발 광풍이 몰아친다.

작가는 전통과 현대로 대비되는 두 사람의 삶을 통해 자본의 논리에 굴복할 수밖에 없는 세태를 생생하게 그려 낸다. 도시와 시골 마을을 오가며 벌어지는 이야기에는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 풍광 좋은 곳에 우후죽순처럼 생기는 카페, 모텔 건설 열기 등 부동산 열풍도 담아 냈다.

각자의 방식으로 시대를 받아들이며 갈등하는 두 사람은 우리 모두의 초상일 수 있다. 순박해 보이는 대규도 결국은 허세와 거짓 삶을 추구하기는 마찬가지다. 광덕산에서 태조대왕 영정을 모신 영당을 지키며 양반 행세를 하지만, 영정이 가짜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기득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이를 감추려 한다. “정치가 제 역할을 못하는 상황에서 우리 사회 전체가 허위에 현혹돼 살고 있지는 않을까요.” 작가가 반문했다.

“내 머릿속은 몇 날 며칠을 씻고 닦아도 지워지지 않을 더럽고 추잡한 기억들로 가득 차 있어요.”(101쪽) 희망에 대한 질문에 답한 윤락녀의 절규는 자본의 논리에 내몰려 막연한 희망도 찾을 수 없는 이들의 삶을 대변한다. “돈이 하는 일이 뭔 줄 알아? 사람 간의 정의를 망치고 구기는 일밖에 못 해”(200쪽)라는 노인의 일갈에선 개발이 안겨 준 일확천금의 꿈으로 갈가리 분열된 사회가 엿보인다.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끌어들이는 매력은 자유분방하고 거침없는 필력에 있다. 방언과 입말이 살아 있는 재치 넘치는 대사들은 해학의 즐거움이 무엇인지를 느끼게 해준다. 올해 등단 50주년을 맞은 작가의 내공이 경이롭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5-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