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부터 도서관주간...서혜란 국립중앙도서관장 인터뷰
서혜란 국립중앙도서관장이 새로 개관한 ‘실감서재’에서 대형 LED 화면에 책을 띄워보이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서혜란 국립중앙도서관장이 밝힌 ‘실감서재’의 인기 비결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지하 3층에 마련한 이곳은 도서관 검색의 미래, 인터랙티브 지도, 디지털북, 수장고 3차원 영상 등 4개의 코너로 구성했다.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프로젝션 맵핑 등 최신 기술로 미래 도서관의 모습을 구현했다. 서 관장은 “코로나19로 예약제로 운용하는데, 예약이 어렵다는 불만 아닌 불만이 나올 정도”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도서관도 이제 달라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2일부터 일주일 동안 운영하는 도서관주간을 맞아 만난 서 관장은 “실감서재 개관 이후 다른 도서관에서 ‘우리도 도입하고 싶다’는 이야길 많이 들었다”면서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국립중앙도서관이 선도적으로 나서서 무언가를 만든 뒤, 일선 도서관에 이를 알리고 배포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최신 기술로만 도서관을 채우면 모든 게 해결되는 것일까. 서 관장은 고개를 젓는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이용자를 그 중심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관장은 “젊은이들은 예전처럼 도서관 열람실에서 공부하지 않고, 카페에서 공부하길 좋아한다. 그렇다면, 도서관도 가구나 카펫을 바꾸는 식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2층에 있는 스튜디오도 이런 사례다. 크리에이터를 위해 마련한 10개의 스튜디오에서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음악을 만들고, 영상도 촬영할 수 있다. 서 관장은 “도서관은 공부하고 책만 빌리는 공간이 아니다. 주민들이 필요한 게 무엇인지 고민하고, 장소를 내주고, 교육도 하는 공간”이라고 강조했다.
서 관장은 특히, 도서관주간을 맞아 이런 인식이 바뀌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도서관주간은 1964년부터 민간단체인 한국도서관협회 주도로 운영했지만, 올해부터 국립중앙도서관과 도서관위원회가 함께 조직위를 구성해 운영한다. 현재 국회에는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낸 도서관법 전부개정안이 상임위에 올랐다. 4월 12일을 국가기념일인 ‘도서관의 날‘로 정하고 일주일의 도서관주간을 정부에서 운영하는 내용이 담겼다.
서 관장은 이와 관련 “코로나19로 도서관의 역할이 축소한 게 아니라 더 중요해졌다”면서 정부가 도서관주간 활동을 강화하기로 한 의미를 설명했다.
“정보통신(IT) 기술 발달로 온라인 서비스가 중요해지는 시점이었는데, 마침 코로나19가 이를 가속했습니다. 당시 사서들이 제안한 ‘드라이브 스루 대여’ 같은 경우 외국 도서관에서도 ‘신선하다’며 감탄을 했지요.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에 이를 알리자 일본, 러시아, 이란 등 여러 나라 도서관에서 연락이 왔고 도서관장 화상회의도 할 정도였습니다.”
그는 코로나19가 언젠가 종식하더라도 예전으로 돌아가지 못할 거라고 전망한다. 그래서 더욱 도서관이 지금, 그리고 중기적으로, 장기적으로 해야 할 일을 고민해야 할 때다. “이번 도서관주간을 맞아 여러 좋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서관들이 서로 참고했으면 좋겠습니다.”
서 관장은 그러면서 “국립중앙도서관도 온택트 서비스를 계속 개발하는데 힘쓸 것”이라며 “각종 최신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조만간 선보이겠다”고 했다.
“국가문헌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우리관에서 구축한 3억 2000만 면의 DB를 기반으로 본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려 합니다. 이밖에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할 계획도 세워뒀습니다. 공공데이터 개방, 고아저작물의 발굴을 통해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국내 최대 디지털 국가지식자원이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