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별하였다/이정숙, 권오균, 임규홍, 김민경 지음/꽃자리/384쪽/1만 5000원
뉴질랜드 국회가 최근 유산이나 사산을 한 여성과 배우자에게 3일 유급휴가를 주는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그간 뉴질랜드의 ‘사별휴가’는 배우자, 부모, 자녀 등 가까운 이가 세상을 떠났을 때만 가능했다. 유산과 사산에 휴가를 도입하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흔치 않다.
‘나는 사별하였다’는 배우자와의 사별을 경험한 4명이 함께 쓴 책이다. 배우자 사별은 결혼한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몇몇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트레스 지수가 가장 높은 일이 바로 배우자 사별이다. 문제는 배우자 사별이 스트레스에서 좌절감으로, 다시 죄책감으로 몸집을 불려 간다는 점이다.
이정숙씨는 10살에 아버지를, 20살에는 어머니와 할머니를 한날 잃었다. 그리고 40대 중반에 남편과 사별했다. “벌어지는 모든 상황에 매일 화가 났”고, 신을 향해 “왜 또 나입니까?”라고 절규했다. 힘든 시간이었지만 한 사람과 많은 것을 공유하지 못한 아쉬움을 내려놓고 여러 사람과 삶을 공유하는 마음을 가다듬으면서 삶을 받아들였다. 몸과 마음의 건강, 나와 자녀를 돌볼 수 있는 경제적 능력 유지, 지혜를 ‘잘 사는 과부’의 조건으로 꼽는다. 사별 후 삶에 정답이 있을까만, 그의 글에 위로와 함께 지혜가 묻어난다.
임규홍씨는 32년 함께 삶을 나눴던 아내를 뇌종양으로 먼저 보냈다. 위암으로 부친을 잃은 트라우마로 고생한 그에게 암 병동의 하루하루는 지옥이었다. 그러나 아내는 의연했고, 석 달 후 세상을 떠났다. 국문학자로서 평소 반듯한 글을 쓰는 그였지만 “상실의 슬픔은 하루아침에 무디어지지 않”아서, 사별 카페에 “아내를 잃은 고통으로 횡설수설하는 원초적 슬픔의 글”을 남기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슬픔을 잊으려고 일에 몰두했고, 그 끝에서 당당함을 얻었다. 사별이 자랑할 일은 아니지만, 굳이 숨길 일도 아니다. 임씨는 처가와의 관계 설정 등 사별한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삶의 노하우도 함께 제언한다.
이렇듯 저자들은 모두 아내 혹은 남편과의 사별을, 하여 그것을 껴안고 저마다 삶을 살아내는 방법을 알려준다. 삶이 제각각이듯 죽음도 제각각이며, 가까운 누군가의 죽음을 견뎌내는 방식도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다. 책은 사별을 겪은 사람에게만 유용한 것은 아니다. 우리 곁에서 홀로 아픔을 삭이는 수많은 사람을 돕기 위해 우리가 모두 독자가 될 만한 책이다.
출판도시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2021-04-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