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이 흠은 아닌 세상이 됐다. 하지만 이혼으로 인한 피해는 여전하다. 어린 자녀의 트라우마를 외면하긴 어렵다. 아마도 아이들은 자신의 상처를 외면하려 애쓰면서도 끊임없이 ‘나는 누구인가’, ‘나는 왜 태어났을까’를 되묻고 있지 않을까.
최진영 작가는 신작 ‘내가 되는 꿈’에서 부모의 별거로 외가에 맡겨진 한 소녀의 성장기를 그리면서 존재와 관계에 대한 의미를 섬세한 시선으로 찾아낸다.
30대 회사원인 주인공 태희는 자신을 키워 준 외할머니의 장례를 치르면서 어린 시절을 떠올린다. 자신의 생일조차 기억해 주지 못했던 엄마, 연락도 없던 아빠, 폭언과 성추행을 일삼은 선생, 자기 방에 얹혀산다고 분풀이를 하던 이모 등 모든 것이 상처로 남아 있다. 그리고 불현듯 떠오른 것은 중학생 시절 자신 앞으로 배달됐던 불가사의한 편지 한 통이다.
홀로 남겨진 듯한 슬픔에 방황하고 자신 말고는 전부 화목한 집에서 살 것으로 생각했던 태희는 어른이 됐어도 여전히 어떤 자신이 돼야 할지 고민하며 살아간다.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태희는 5년 넘게 만난 애인이 외도했음에도 이별을 미루고, 직장에서 인격적 모독을 주는 상사에게 한마디를 못 하고 모욕감만 삼키는 소시민이다.
그럼에도 할머니가 남긴 유서 “잘못과 사랑은 나눌 것”(10쪽)이란 말은 상처를 나눠 가짐으로써 삶이 회복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태희가 엄마와 이모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에서 이들은 서로 위로받고 치유된다. 연대와 나눔을 통해 ‘나’가 되는 일을 알아 간다. 나를 찾는 길은 더 내면으로 심화해 내 안에는 무수한 내가 존재하고, 그것만으로도 내가 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내가 누구인가를 꿈꿨지만, 사실 나는 아주 오래전부터 ‘나’였던 거다.
그동안 시대의 어두운 현실을 조명해 왔던 작가답게 소설에서는 직장 상사의 갑질, 여성 직장인의 고충도 비중 있게 다뤘다. 어린 태희의 학교 친구들은 모두 저마다 가정 불화가 있다. 부모로서 자신의 삶이 아이에게 어떤 상처를 주지 않았는지 되돌아 보게 된다.
무엇보다 작가는 “다양한 시간·공간에 내가 존재한다면 어떤 세계에서 내가 슬퍼할 때 다른 세계에서 나는 기쁘다”며 “과거의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모습으로 현재를 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20대에 기대했던 자신의 모습과 달리 30~40대에도 아직 자신이 갈 길을 찾지 못했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내 안에 있는 많은 ‘나’를 떠올리며 위안을 받을 수 있다.
‘내가 되는 꿈’은 결국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모두 꾸는 꿈이란 생각이 든다. 후회가 꼬리를 무는 어른들의 삶을 되짚어 보며, 인간의 내면을 섬세하게 펼쳐 보인 작가의 필력이 돋보인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1-03-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