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출판도시 30년, 다시 내일을 말하다/이규동 지음 교보문고/464쪽/1만 6000원
이 대표는 1970~1980년대 무질서하고 궁핍했던 출판계 현실을 온몸으로 체감했다. 특히 1980년대 후반은 경제성장과 높은 교육열, 민주화 열망으로 책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지만 출판환경은 노후하고 비생산적인 구조를 벗어나지 못했다. 파주출판도시의 밑그림은 1989년 ‘북한산 결의’로 이뤄졌다. 격무를 피해 매주 산을 오르던 윤형두 범우사 회장, 박맹호 민음사 회장, 김언호 한길사 대표 등 마포출판단지 40~50대 출판인들은 문화 근간인 책을 가치 있게 만들 환경을 개선하고 출판을 국가산업으로 키우자는 미래를 함께 그렸다. 그러나 뿌리내리고 줄기를 뻗는 것은 좌절과 고난이었다. 출판도시가 왜 필요한지, 책이 어떤 가치를 갖는지 무수히 설득해야 했다. 1994년 대통령 지시가 있었지만, 이후엔 부지를 두고 벽에 부딪혔다. 당초 예정했던 경기 일산은 땅값이 너무 올라 버렸다.
그렇게 만난 파주는 운명 같은 대안이었다. 문발(文發·문화를 널리 알린다), 지명부터 남다른 곳에 출판과 건축, 문화 등이 어우러진 유토피아 같은 도시가 꾸려졌다. 이 대표는 “책을 만들듯 출판도시를 만들었다. 도시의 콘셉트를 생각하고 내용을 담아냈다”면서 “책 속에 소우주가 담겨 있듯 출판도시라는 좀더 큰 책을 만들었을 뿐”이라고 회상했다. 81세 ‘책마을 편집자’ 이 대표는 여전히 꿈을 꾼다. 출판도시의 지향을 넓혀 농사짓고 에너지를 생산해 자족할 수 있는 건강한 ‘북팜시티’(Book Farm City), 개성공단 제2의 출판도시 조성 등 그는 아직도 피우고 싶은 꽃이 많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1-02-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