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다시 읽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한다. 자본주의와 자유경제의 종말이 운위되는 혼돈의 시대에 자본주의의 특성을 이해하는 게 중요해졌다는 이유에서다. 500년 동안 ‘영원하고 유일한 시스템’으로 믿어 왔던 자본주의의 문제를 자본주의 시각으로만 진단하는 건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 ‘자본주의는 왜 멈추는가?’는 자본주의 건너편에 있는 ‘자본론’을 토대로 오늘의 경제 현실을 분석한 책이다. 인공지능 로봇은 노동의 종말을 가져올까, 공정한 임금은 어느 수준의 임금을 가리키는 걸까,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오를까, 재벌을 개혁하면 정말 공정한 시장이 확립될까 등의 의문들에 대해 마르크스의 경제 이론을 재해석해 답하고 있다.
책은 4부로 구성됐다. 1부는 ‘노동가치론’을 통해 인공지능, 디지털 경제, 비트코인 등 편향적 기술 진보의 모순을 분석한다. 2부는 ‘착취법칙’을 통해 직장 갑질과 공정임금, 귀족노조 등의 노동 이슈를, 3부는 ‘자본순환론’으로 부동산과 소득주도성장 등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쟁점들을 들여다본다. 4부는 ‘자본축적의 일반법칙’으로 경제적 불평등과 현실 사회주의의 실패 등 자본주의 장기 비전과 쟁점을 분석한다.
책의 시각은 진보적이다. 현 사회의 주도적 흐름에 대해 따끔한 지적도 잊지 않는다. 저자는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경제의 재시동’이 아닌 경제와 사회를 기초부터 새로 만드는 ‘세계 재건’이 필요하다”며 포퓰리즘 경계, 상품화폐 경제를 지양하는 사회운동, 분배와 경영 등에 대한 시민들의 지식 운동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정부의 파산을 막자는 주장도 흥미롭다. 진보라 불리는 세력은 큰 정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19로 큰 정부론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저자는 “정부의 확장이 공짜가 아니라는 점이 문제”라며 “정부 부채가 허용 한계치를 넘으면 그리스처럼 국가부도 사태를 겪게 되고, 후대가 이 빚을 갚기 위해 기존의 복지를 축소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2-0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