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혜경 연구원, 박용자 관장, 박정근 관장 인터뷰
(왼쪽부터)권혜경 에너지 경제연구원 지식정보화팀 연구원, 박용자 전주시립완산도서관장, 박정근 손소리 강서점자도서관장.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전문도서관은 일반 공공도서관보다 규모가 작습니다. 예산도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러면 안 되지’ 싶어 북유럽 도서관을 살펴봤습니다. 전문도서관이라도 일반 이용자들이 쉽게 올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더라고요.”
권혜경 에너지 경제연구원 지식정보화팀 연구원은 ‘도서관 혁신 아이디어 논문·우수 현장사례’ 부문 장관상을 받았다. 전국 정부 출연 전문도서관 가운데 인문·사회 분야가 모두 25개인데, 자료 제공에만 그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권 연구원은 지난 40년 동안 에너지의 흐름을 주제로 통계자료를 모으고, 이 자료로 지난해와 올해 전시회를 열었다. 다른 도서관이나 과학관, 학교 등에서 전시회를 열어달라는 요청이 들어올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이용 계층이 장애인인 장애인 전문도서관은 전국에 모두 44개가 있다. 사립이 대부분인 데다, 주로 후원금으로 운영한다. 바꿔 말해 후원이 끊기면 도서관이 어려울 지경까지 이른다는 뜻이다.
박정근 손소리 강서점자도서관 관장은 도서관에서 만든 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에 적극적으로 보내 전국 장애인 전문도서관으로 확산하는 데에 기여해 ‘대체자료 공유·협력 우수기관’ 부문 장관상을 받았다.
박 관장은 “장애인 전문도서관은 일반도서관에 비해 자료가 모자라거나 중복되는 사례가 많다. 우리 도서관에서는 일반 책을 음성파일로 만들어 국립중앙도서관에 보내고, 시각 장애인들이 쉽게 접속해 내려받을 수 있도록 했다”면서 “자원봉사자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정부가 체계적으로 지원해야 좀 더 많은 장애인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주시립완산도서관은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모범 운영기관으로 선정돼 장관상을 받았다. 이 서비스는 국립중앙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모두 360여개 도서관 사서들이 이용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온라인 서비스다. 2008년부터 이 서비스에 참여한 전주시립완산도서관은 주로 역사 관련 질문에 답한다. 최근 3년 동안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박용자 관장은 “사서의 역할이 도서정리나 책 정보 입력에서 벗어나 점점 확산하고 있다. 도서관이 문화공간으로 변모하는 시점이다. 사서직들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3명의 수상자는 “도서관이 어떤 서비스를 하느냐에 따라 서비스의 질이 크게 달라진다”고 말했다. 결국 ‘잘 되는’ 도서관은 누구를 향하느냐가 관건이 될듯하다. “도서관이 잘 되는 비결이요? 이용자들에게 다가가려는 노력을 얼마나 하느냐에 달려 있는 게 아닐까요?”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