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경성에도 ‘마용성’이 있었다

1920년대 경성에도 ‘마용성’이 있었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12-05 20:42
수정 2019-12-06 0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성의 주택지/이경아 지음/집/392쪽/2만 3000원

이미지 확대
“반드시 집값을 잡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강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서울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다. 주택 공급률이 100%를 넘어선 지 오래지만 보다 나은 주거환경과 집을 재테크 수단으로 삼는 다주택자들로 인해 대기 수요는 늘 넘쳐난다. 특히 특정 지역에 대한 선호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전통적인 ‘강남 불패’에 이어 신흥 강자인 ‘마·용·성’ 신화가 회자되는 이유다.

‘경성의 주택지’의 저자는 주택과 주택지에 대한 열망의 기원을 10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찾는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주택은 “짓고자 하는 사람과 지어주는 사람만이 존재하는 일종의 주문생산 방식”이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경성 인구가 폭증하면서 대규모 주택을 위한 주택지 개발이 본격화했다. 20만명 안팎이었던 인구는 1920년대 25만명, 1930년대 40만명으로 불어났고 1940년대에는 100만명에 육박했다.

1920년대부터 개발자 또는 개발회사가 대규모 필지를 사들여 불특정 다수에게 분양하고, 주택지에 별도의 브랜드를 붙여 신문이나 잡지에 광고를 하거나 모델하우스를 공개한 방식 등은 현재와 별반 다르지 않다. 부동산 투기 열풍도 거셌다. 주택지로 개발된 땅은 논, 밭, 산, 공동묘지나 빈민 주거지가 대부분이었는데 개발로 인해 쫓겨날 수밖에 없었던 원주민들과 격렬한 대립과 충돌이 빚어진 상황 역시 낯설지 않다.

그때나 지금이나 인기 있는 주택과 주택지의 기준은 비슷했다. 주변에 녹지가 있고, 교육·의료·문화시설과 같은 생활편의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버스나 전차가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가 노른자로 꼽혔다. 이런 이상적인 잣대에 부합하는 3대 주택지가 있었다. 1925년부터 삼판통(현재 후암동 일대)에 개발된 학강 주택지, 1927년 장충동 일대에 개발된 소화원 주택지, 1928~1934년 3차례에 걸쳐 죽첨정(현 충정로 일대)에 개발된 금화장 주택지이다. 국책회사인 조선도시경영주식회사에서 개발한 장충단 주택지는 최고급 주택의 각축장이었고, 해방 직후 재벌들의 주택지로 유명했다. 전원주택지였던 신당동, 한강 너머의 이상향이었던 흑석동, 최신 주거문화의 전시장으로 꼽혔던 충정로 등 당대의 주택지 개발 역사를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19-12-06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