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그런 거실이 근사한 서재로 거듭났습니다. 뿌듯합니다. 책상이 해결되자, 이제 책장에 불만이 조금 생깁니다. 책장 여러 개가 크기도 색도 제각각인 데다가 MDF 재질에 나무 무늬 필름으로 마감해 그다지 예쁘지 않습니다.
책장을 만드는 데에 참고할 책이 있을까 싶어 도서관에 들러 책을 들췄습니다. ‘인테리어 세계’ 편집장이자 열렬한 독서가인 데이미언 톰슨이 지은 ‘책과 집’(오브제)이 우선 눈에 들어옵니다. 책 수집가로 알려진 디자이너, 건축가, 화가, 사업가 등의 서재를 사진으로 보여 주고, 저자가 이를 설명합니다. “한쪽 벽면 전체를 책으로 덮으면 공간 규모가 좀더 인간적으로 느껴진다”든가, “아이들 방에는 책이 늘 손쉽게 닿는 곳에 책을 두고, 일상생활에서 늘 배경을 이루는 존재로 만들어야 아이들이 책에 몰두한다”는 내용이 와닿습니다.
‘아무튼, 서재´(제철소)는 한 손에 들어오는 에세이집 ‘아무튼’ 시리즈 가운데 하나입니다. 목수 김윤관이 책과 가구에 관해 쓴 에세이를 모았습니다. 저자는 한국의 애서가들에 관해 “책에 관해서라면 열흘 밤낮을 이야기할 수 있지만, 책장을 주제로는 단 10분도 대화를 이어나가기 어렵다”고 비판합니다. 책이란 사람 손보다 책장에 더 오래 있으니, 애서가라면 마땅히 좋은 책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저자는 또 자신만의 서재를 가지라고 조언합니다. 그게 바로 자신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책장에 쓸 목재로 묵직한 월넛이 좋을까, 아니면 밝은 색 오크가 좋을까 고민합니다. 책은 안 보고 책장 고민만 한다고 타박할 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좋습니다. 아무튼, 제 서재니까요.
gjkim@seoul.co.kr
2019-11-15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