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하수도는 독일 통일에 어떻게 기여했나

베를린 하수도는 독일 통일에 어떻게 기여했나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9-11-14 17:18
수정 2019-11-15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베를린, 베를린/이은정 지음/창비/260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독일 동서분단의 상징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올해로 30년이 됐다. 하지만 또 다른 냉전체제 산물인 한반도 남북분단은 여전히 공고하다. ‘독일 통일에서 배우자’는 말도 낡은 구호가 돼 버린 것 같은 이때, ‘베를린, 베를린’은 독일 통일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던져 준다.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난 후 독일은 소련, 미국, 영국, 프랑스 등 4대 연합국에 분할 점령됐다. 소련 점령지 한가운데에 있는 수도 베를린도 마찬가지로 쪼개졌다. 이후 미·영·프 3국 점령지는 독일연방공화국(서독)으로 통합됐고 독일민주공화국(동독)과 대립했다. 베를린 역시 동서로 갈라졌고 1961년엔 도시 한복판에 거대한 콘크리트 담장이 생겼다. 여기까지는 우리가 잘 아는 이야기다.

독일이 분단에서 통일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기존 국내 도서는 대부분 당대 정치지도자의 관점에서 서술했다. 반면 이 책은 베를린 주민들의 생활상과 동서독 교류의 구체적 양상에 주목한다. 동독 영토 안 외로운 섬으로 남은 서베를린의 독특한 상황은 분단 상황에서도 동서독 교류의 맥을 잇게 한 근간이었다.

예를 들어 베를린 전역의 지하를 연결한 하수도는 분단으로 막을 수 있는 게 아니었다. 총연장 9725㎞에 이르는 거대 하수관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건설됐다. 지금도 쓰이는 전체 하수관 중 3분의1이 100년이 넘었을 만큼 튼튼하게 설계된 시설은 재통일까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 사용됐다. 당국자들은 하수처리비용 협상을 위해 교류해야 했고, 시설보수를 위해 기술자들도 협력했다. 1940년대에 이미 연간 이용객 3억명을 넘을 정도로 촘촘하게 발달한 대중교통체계도 단번에 끊이지 않았다. 역과 터널이 폐쇄되기도 하고 새로운 교통 시스템이 독자적으로 운영되기도 했지만 기존 교통망을 통한 이동과 교류가 이어졌다.

저자는 서문에서 “한반도에도 베를린과 같은 공간이 있었더라면 하는 가정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안다”고 인정하면서도 “베를린 주민들이 경험한 것과 같은 의미의 일들이 한반도에서 생길 수 있다는 희망을 갖는다”고 밝힌다. 서베를린 시장이었던 빌리 브란트의 ‘작은 걸음 정책’처럼 교류와 대화를 향한 작은 시도들이 통일을 완성하는 발판이 된 독일의 사례는 우리가 귀담아들어야 할 경험이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9-11-15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