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베를린/이은정 지음/창비/260쪽/1만 6000원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난 후 독일은 소련, 미국, 영국, 프랑스 등 4대 연합국에 분할 점령됐다. 소련 점령지 한가운데에 있는 수도 베를린도 마찬가지로 쪼개졌다. 이후 미·영·프 3국 점령지는 독일연방공화국(서독)으로 통합됐고 독일민주공화국(동독)과 대립했다. 베를린 역시 동서로 갈라졌고 1961년엔 도시 한복판에 거대한 콘크리트 담장이 생겼다. 여기까지는 우리가 잘 아는 이야기다.
독일이 분단에서 통일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기존 국내 도서는 대부분 당대 정치지도자의 관점에서 서술했다. 반면 이 책은 베를린 주민들의 생활상과 동서독 교류의 구체적 양상에 주목한다. 동독 영토 안 외로운 섬으로 남은 서베를린의 독특한 상황은 분단 상황에서도 동서독 교류의 맥을 잇게 한 근간이었다.
예를 들어 베를린 전역의 지하를 연결한 하수도는 분단으로 막을 수 있는 게 아니었다. 총연장 9725㎞에 이르는 거대 하수관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건설됐다. 지금도 쓰이는 전체 하수관 중 3분의1이 100년이 넘었을 만큼 튼튼하게 설계된 시설은 재통일까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 사용됐다. 당국자들은 하수처리비용 협상을 위해 교류해야 했고, 시설보수를 위해 기술자들도 협력했다. 1940년대에 이미 연간 이용객 3억명을 넘을 정도로 촘촘하게 발달한 대중교통체계도 단번에 끊이지 않았다. 역과 터널이 폐쇄되기도 하고 새로운 교통 시스템이 독자적으로 운영되기도 했지만 기존 교통망을 통한 이동과 교류가 이어졌다.
저자는 서문에서 “한반도에도 베를린과 같은 공간이 있었더라면 하는 가정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안다”고 인정하면서도 “베를린 주민들이 경험한 것과 같은 의미의 일들이 한반도에서 생길 수 있다는 희망을 갖는다”고 밝힌다. 서베를린 시장이었던 빌리 브란트의 ‘작은 걸음 정책’처럼 교류와 대화를 향한 작은 시도들이 통일을 완성하는 발판이 된 독일의 사례는 우리가 귀담아들어야 할 경험이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9-11-15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