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장편소설 펴낸 문은강 작가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문은강 지음/다산책방/268쪽/1만 4000원소설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는 원칙을 고수하고 절대 타협하지 않는 여자 고복희가 운영하는 호텔 ‘원더랜드’에 불현듯 청년 백수 박지우가 찾아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등단 2년 만에 첫 장편을 내놓은 문은강 작가는 “무뚝뚝하고 융통성 없는 여성 캐릭터를 사랑스럽게 그려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문은강(27) 작가의 첫 장편소설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에는 세상의 시선으로는 충분히 괴팍한 여자, 고복희가 나온다. 그는 무엇이든 원칙대로이며, 절대 타협하지 않는다. 세상 금시초문인 ‘밤 12시 통금’이 있는 호텔의 운영자이기도 하다. 25년 동안 중학교 영어 교사로 일할 때 학생들이 붙여 준 별명은 ‘로보트’이며, 소싯적 매주 토요일 밤 남자친구를 따라 간 디스코텍에서도 단 한 번 스테이지에 나서지 않았다. 테이블만 지켰다.
이런 고복희의 호텔 ‘원더랜드’에 불현듯 “앙코르와트를 보겠다”는 청년 백수, 박지우가 날아든다. 앙코르와트를 보겠다면서, 앙코르와트에서 7시간 넘게 걸리는 원더랜드를 숙소로 잡은 박지우에게 고복희가 말한다. “왜 여기로 왔습니까?” (중략) “여기가 캄보디아 수도 아니에요?” “불국사는 서울에 있습니까?” 반박 불가다.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요즘 20대답지 않게 교민사회와 원더랜드를 종횡무진 들쑤시고 다니는 박지우는 작가의 분신에 다름 아니다. 작가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9개월간 생활하며 만난 교민 사회와 현지 청년들을 소설에 담았다. 교민 사회의 폐쇄성이나 일확천금을 꿈꾸고 왔다가 스러져 가는 사람들 등 어두운 부분들도 소설에 적극 노출된다. 고복희가 믿고 의지했던 한 사람, 남편 장영수와의 일화를 써내려 간 대목에서는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대학생들의 수업 거부 시위, 2000년대 중반 재개된 새만금 간척 사업 등도 등장한다. 깊이 파고들진 않지만 고복희의 캄보디아행을 설명하는 데 필연적인 요소들이다. “우리 퇴직하면 남쪽 나라에서 살까요?”를 입버릇처럼 말하던 남편은 새만금 사업 반대에 앞장서다 운명을 달리했다.
등단작 ‘밸러스트’에서 양극화, 불평등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썼던 작가는 한국에서도, 캄보디아에서도 일관되게 사회상을 응시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작가의 말’에 이렇게 썼다. “나는 내가 세상에 대해 잘 모른다는 사실을 들키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고복희는 자신의 삶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인간이었고 나 역시 그녀의 방식으로 소설을 쓰려고 노력했다.”(264쪽)
이 변수 많은 세상에 이토록 올곧은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 그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서른 살 터울의 젊은이가 있다는 것만으로 따뜻한 소설이다. ‘괴팍하다’의 사전적 정의는 ‘붙임성이 없이 까다롭고 별나다’이다. 소설을 읽고 나면 ‘붙임성’이라는 게 얼마나 사적인 동기에서 유래하는지, ‘까다롭고 별나다’는 표현의 상대성을 되새기게 되면서, 남에게 쉬이 ‘괴팍’이라는 꼬리표를 붙일 수 없을 것 같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11-08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